영상버전 : https://youtu.be/7O39f4t3wjs
캐퍼시티 플래닝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아직 리더급이 되지 않으신 분들이나 이제 막 리더가 되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리라 봅니다.
프로젝트를 리딩하는 사람들은 예산을 편성해야 합니다.
원래는 컨설턴트가 주로 하는 것이지만, 운영 중에는 PM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지요.
보통 캐퍼시티 플래닝 이라고 하면
서비스에 맞추어 어느 리소스를 어느 타이밍에 얼마만큼 늘려주어야 하는지를 계산하여
그로인해 예산이 편성되는 시기까지 서비스를 멈추지 않고 미리 확장하기 위한 레거시 시절의 산물입니다.
이젠 클라우드가 되었으니 그냥 매달 내면 되잖아요?
하지만 클라우드가 되면서 더욱 예산 편성이 힘들어진 요즘
클라우드에 맞는 캐퍼시티 플래닝을 해주는 곳이 별로 없는 것 같아서
대형 프로젝트는 예산이 불확실 하여 클라우드화 안된다거나,
클라우드화를 하더라도 레거시처럼 월단위 금액이 고정되는 리소스를 굳이 넣는 경우가 많죠..
여기서 제가 제안하는 클라우드에 특화된 캐퍼시티 플래닝 기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왠지 거창하죠?
하지만 보시면 헛 웃음이 나올 정도로 간단합니다.
이런 간단한 걸 지금 할 줄 아느냐 모르느냐의 차이가 능력의 차이가 되는 것이지요.
이제 감정인식AI프로젝트의 막바지인데요.. 6월에 저의 할 일은 끝나서 저만 프로젝트에서 빠집니다.
그런데 할게 없어서 캐퍼시티 플래닝을 해주겠다고 하자 좋아하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했던 내용을 정리 해 드립니다.
1. Azure Cost management를 들어갑니다.
2. 한 달간 사용한 양을 CSV로 떨굽니다.
3. 이걸 엑셀에서 열어서 항목들을 보면서 고객이 늘어날 때 늘어날 항목들에 가중치를 만들어 줍니다.
a. 개발이나 테스트 리소스는 0으로, 고객이 늘어날 때 추가할 것은 1로, 고객이 늘어나도 쉐어하는 것은 쉐어 비율을 계산합니다. 보통 0.3~0.7 정도로 많이 하지요.
4. 이렇게 계산이 끝나면 확장 단위별로 자동 계산 식을 만듭니다.
5. 이번 고객은 엔드유저 하나당 한 세트씩 늘어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엔드 유저 수로 계산하는 표를 만들었지요. 만약 유저 5000명 1만명 당.. 같은 식이라면 그런 느낌으로 가중치와 기본 세트의 금액을 적으면 됩니다.
6. 그리고 첫 페이지는 고객이 그냥 숫자만 입력하면 되도록 하는 간이 계산기 표를 만들어 주면 되지요.
너무 쉽죠?
하지만, 제가 들어간 모든 프로젝트에서 이런 느낌으로 만들어 주시는 분들이 없다보니
제 방식에 굉장히 신뢰를 해주시더라구요..
그도 그럴게 실 데이터를 익스포트해서 가중치만 잘 계산하면 언제든 새로운 기능이 들어가도 고객이 스스로 계산기를 만들 수 있게 되니까요.
기존 레거시 시스템의 캐퍼시티 플래닝 표는 완전히 다릅니다.
이건 클라우드화 되가면서 고객이 어떻게 하면 예산 편성이 쉽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제가 만들어낸 것이라 제 오리지널이라고 해야 할까요?
하지만 너무 단순해서 굳이 꽁꽁 싸매고 제거라고 우길만한게 아니라 공개 합니다.
AWS역시 비용 계산기가 있으니 이 내용을 참고로 스스로 만들어보는 연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IT컨섩팅을 목표로 하시는 분들에게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