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4월, 2024의 게시물 표시

경험자가 이야기 하는 대규모 처리 경험이란?

영상버전 :  https://youtu.be/gkMwrSJsUVo  제가 재섭게 자랑처럼 맨날 이야기 하는내용이 있잖아요? 4000만 DAU 60만 동접 120만 TPMC 300Gbps 트래픽 2억대 펌웨어 다운로드.. 1.76PB 머신러닝 팜 설계 DR을 Active화 하여 Geo Balancing구성을 했다거나 소프트뱅크 페퍼 공식 저서 작성 각종 블록체인의 소스코드 분석 및 토큰 에코노미 분석 요즘은 chatgpt프로젝트 세 개나 했구요..  혹자는 이렇게 생각하겠죠.. 저거 구라 아냐? 저정도 해본 인간이 왜 찌질하게 몇 명 없는 유튜브나 하고 있어? 라구요..  저처럼 지지리도 운도 없고 영어도 못하면 이 정도 실력을 가지고 있어도 이렇게 찌질하게 유튜브나 찍으면서 자기 잘난 맛에 보는 사람 없이 떠들기도 한답니다.  어디 엄청난 선구안을 가진 사람이 절 안주워갈려나요?  어디선가 저의 진짜 모습에 투자해주실 분을 기다리면서 홀로 방송 해봅니다. ^^ 주변에 엄청난 분이 계시다면 제 영상을 꼭 보여주세요~~ 쓸데없는 말은 이정도 하구요..  얼마전 대규모 설계 경험자 모집이란 내용에 대한 썰을 푸는 영상을 보았는데요..  이런 대규모 설계는 다른 설계와 뭐가 다르길래 대규모 처리 경험자와 비 경험자가 나뉘어지게 되는걸까요? 그 전에 그 대규모 라는 건 어떤 기준일까요?  제가 생각하는 대규모 라고 접어드는 단계는  서버 한 두대 정도로 케어할 수 없는 규모의 처리를 이야기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서 이런게 있죠.  하루 4천만 유저가 들어오는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요?  제가 강조할 때 4000만DAU를 말하면서  다른 서비스에서는 동시 60만 클릭을 다시 이야기 합니다.  그냥 4000만으로 퉁치면 되는 거 아닌가요?  하루는 1440분 입니다. 1분에 약 3만 명의 사용자, 초당 500명의 사용자라면 순간 동접으로 따지면 그렇게 크지 않아요.   즉, 4000만 DAU일때 신경써야 하는 인프라와 60만 동시 리퀘스트에서 신경써야

IT컨설턴트에게 필요한 자질

영상버전 :  https://youtu.be/3srQLSa3tV8 일본에서 IT컨설턴트 라는 직업이 되기 위해 필요한 스킬로서  눈에 보이는 자격증 등과  눈에 보이지 않는 능력에 대해서 궁금하다는 질문이었습니다.  두 번째 질문은 눈에 보이는 자격 증 등의 대답에서 같이 해드리면 될 거 같구요..  세 번째 질문은 IT컨설턴트 말고 전체에 적용되는  일본에서 취업할 때 학벌과 나이가 중요한지?  에 대한 대답을 해드리겠습니다.  우선 IT컨설턴트 라는 직업은  IT전문가 와 컨설턴트 라는 업무 전문가를 합칭 말입니다.  때문에 필요한 것은 전문적인 IT지식과 현업의 업무 지식이 필요한 것이지요.  IT전문가로서 필요한 스킬을 보자면 프로그래밍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스스로 개발을 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언어별 차이를 깊이 있게 알아야 겠지요. 예를 들면 C언어는 보다 어셈블리에 가깝기 때문에 OS의 아주 세세한 레벨까지 컨트롤이 가능하고, 거의 어셈블러에 가깝게 컴파일이 되기 때문에 CPU의 명령어 인식에 리소스가 많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저스펙에서도 가볍게 돌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하드웨어 컨트롤 하는 프로그램,  고 사양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고효율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지요.  Java같은 경우는 처음부터 MCU같은 보드에 가볍게 넣고 밥솥이나 냉장고 등을 컨트롤 하기 쉽도록 만든 언어였는데, 다른 가전 벤더에서는 자기네들만의 프로그래밍 툴이 있었기 때문에 인기가 없었죠.  하지만, 적은 메모리에서 가볍게 움직인다는 장점이 가벼워야 할 브라우저에서 최적이라는 판단으로 웹 으로 넘어오면서 아주 좋은 효율을 냈지요. 하지만, 처음부터 용도가 다른 언어였는데 그걸 무리하게 점점 커지는 요구에 맞추어 복잡하게 되다보니 한계를 억지로 넘긴 기능들이 속출하다가 많은 버그를 만들기도 했지요.  그래도 node.js까지 발전하면서 고스펙 하드웨어가 기본이 된 현재에는 엔진이 복잡한 것은 이유가 되지 않고, 복잡하더라도 MSA가 가능해진 요즘

홈IoT 서버의 승자는?

영상버전 :  https://youtu.be/X-kii9ZQte8 AI가 성장함에 따라 데이터센터의 고밀도화 및 그에 대한 전력 소비, 발열등에 대한 이야기가 눈에 들어옵니다. 이런 이야기를 하신 분들은 이미 그 다음 단계를 알고 있다고 봐야겠지요..  시장은 유기물처럼 변화하고 움직입니다.  지금 AI에 진입한다면 늦지 않았나 조심스럽게 생각이 되네요..  그럼 AI시장이 확산되면서 나올 주제중 하나를 한 번 언급해 볼께요..  사실은 이 제안은 제가 2016년 경 한국의 유명 제조사에 제안을 했지만, 제가 직접 제안한 것이 아니고 SI업체를 통해 제안을 했다보니 많이 희석되버린 내용인데요..  이제라도 이 내용을 참고로 또 한 번 도약하는 한국의 기업들이 생기면 좋겠습니다.  IoT 시장은 나날이 확장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 속에서 한 집당 많은 IoT디바이스들이 자리를 잡겠지요..  AI스피커에서부터 전화, 커튼, 인터폰, 냉장고, 세탁기, 각 방의 전등이나 보일러 등등..  최소 집안의 IoT디바이스는 50개 정도는 봐야 할 것 입니다.  각각이 서로 IP를 가지고 있고, 그들이 MCU나 어떤 디바이스는 AI반도체가 들어있겠지요. 때문에 모든 디바이스를 인터넷 상으로 보내서 서버통신을 하기에는 너무나도 비효율적이 될 겁니다.  10만가구에 팔았는데 집당 50개의 디바이스라면 동시 500만대가 수시 서버랑 통신하는 개념이 되겠지요.. 그래서 GE는 생각을 했지요..  앞으로 이많은 디바이스가 각각 서버랑 통신하지 말고, 집집마다 홈IoT서버가 있고 그 서버가 데이터를 모아 꼭 필요한 데이터만 서버에 던져야 겠다구요..  그러면 1/50만큼 통신량이 줄어들어 서버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겠지요..  24시간 전원이 꺼져있지 않고 냉각에도 걱정없는 서버는 바로 냉장고가 아닐까? 라고 생각을 했더랍니다. 지금은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이 시기에 삼성도 비슷한 생각을 했습니다.  삼성TV야 말로 24시간 전원이 들어가 있고, 실제로 내부에 칩도 들어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