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Cloud인 게시물 표시

IT컨설턴트의 필수 스킬 캐퍼시티 플래닝(Capacity Planning) ! 중에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영상버전 :  https://youtu.be/7O39f4t3wjs 캐퍼시티 플래닝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아직 리더급이 되지 않으신 분들이나 이제 막 리더가 되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리라 봅니다.  프로젝트를 리딩하는 사람들은 예산을 편성해야 합니다.  원래는 컨설턴트가 주로 하는 것이지만, 운영 중에는 PM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지요.  보통 캐퍼시티 플래닝 이라고 하면  서비스에 맞추어 어느 리소스를 어느 타이밍에 얼마만큼 늘려주어야 하는지를 계산하여  그로인해 예산이 편성되는 시기까지 서비스를 멈추지 않고 미리 확장하기 위한 레거시 시절의 산물입니다.  이젠 클라우드가 되었으니 그냥 매달 내면 되잖아요? 하지만 클라우드가 되면서 더욱 예산 편성이 힘들어진 요즘  클라우드에 맞는 캐퍼시티 플래닝을 해주는 곳이 별로 없는 것 같아서  대형 프로젝트는 예산이 불확실 하여 클라우드화 안된다거나,  클라우드화를 하더라도 레거시처럼 월단위 금액이 고정되는 리소스를 굳이 넣는 경우가 많죠.. 여기서 제가 제안하는 클라우드에 특화된 캐퍼시티 플래닝 기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왠지 거창하죠?  하지만 보시면 헛 웃음이 나올 정도로 간단합니다.  이런 간단한 걸 지금 할 줄 아느냐 모르느냐의 차이가 능력의 차이가 되는 것이지요. 이제 감정인식AI프로젝트의 막바지인데요.. 6월에 저의 할 일은 끝나서 저만 프로젝트에서 빠집니다.  그런데 할게 없어서 캐퍼시티 플래닝을 해주겠다고 하자 좋아하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했던 내용을 정리 해 드립니다.  1. Azure Cost management를 들어갑니다.  2. 한 달간 사용한 양을 CSV로 떨굽니다.  3. 이걸 엑셀에서 열어서 항목들을 보면서 고객이 늘어날 때 늘어날 항목들에 가중치를 만들어 줍니다.  a. 개발이나 테스...

AWS 관련 정보 정리 링크

AWS는 IOPS가 굉장히 민감하기 때문에  자기의 Instance가 지원되는 IOPS인지를 체크해야 한다.  Instance의 IO Network Bandwidth와 EBS의 Throughput 과 IOPS 중 하나라도 느리면 그 곳에서 병목이 발생한다.  EBS Specification:  https://aws.amazon.com/jp/ebs/volume-types/   EBS Volume Type :  https://docs.aws.amazon.com/AWSEC2/latest/UserGuide/ebs-volume-types.html 일단 정리용으로 대충 올려 놓음.. giip :: Free mixed RPA orchestration tool!  https://giipasp.azurewebsites.net/

요즘은 아키텍트(Architect) 되기가 더욱 힘들어진 거 같아요.

얼마전 aws위에서 mongodb를 올려서 서비스를 구성한 구성표를 보았다.  이 구성표를 만든 팀은 예전에 내가 도와준다고 했을 때 이미 많은 서비스를 mongodb를 이용해서 서비스 했다고 자만하던 팀이라 그냥 지켜보기로 했던 팀이었다.  2Core/4GB의 mongos 2대가 서비스 헤더, 1대가 관리헤더 2Core/4GB의 mongoc 3대가 metadata, 3대가 로그의 metadata.  4Core/16GB VM을 5대를 올려서 3대를 mongod를 올리고 2대를 서비스로그를 저장하도록 구성 했다.  물론 세세한건 보지 않았지만,  당연히 EBS가 30GB이니 30GB모두 하나의 shard로 하여 1 shard 3 replica 이지 않았을까? 안에서 추가로 쪼개기에는 EBS사이즈가 작으니.. 개발 서버 포함 총 15대의 VM으로 구성된 예상비용은 월 약1200달러.  이것을 26대로 늘리고 월 약 1100달러로 줄이는 설계를 보여줬다.  그리고 성능은 기존의 약 6배. 비용으로 환산한다면 월 7200달러 어치의 성능을 1100달러로 보여준 것이다.  AWS HW의 특성상 IOPS성능이 일반 HW보다 1/5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을 어떻게 메꿀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특히나 EBS가 SSD라고 할지언정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가 아닌 이상 Storage Network의 처리 성능이 가장큰 병목이 발생한다. (AWS 및 Storage를 Network로 연결하는 클라우드 아키텍쳐는 모두 같은 문제) 그리고 AWS의 특성상 1vCPU는 1Core가 아니다. 예전에는 1vCPU의 성능 수치가 있었지만 지속적인 하드웨어 추가로 인해 기존 하드웨어와의 CPU모델이 달라져 성능이 다르게 나오고 있어 이 지표는 사라졌다. 1vCPU의 성능이 얼마만큼 나오는지를 이해하여야 한다.  그 다음으로 Virtualization의 성능(Para-virtualization, Full virt...

Evernote활용하기?

아는 사람을 통해 Evernote business에 가입요청이 들어왔다. 안쓸 수 있던 에버노트였지만, 기회가 되면 최대한 활용하는 성격이라.. 본격적으로 사용을 해보았다. 에버노트의 가장 큰 단점이 메모장 + 사진 올리기 정도밖에 입력이 안된다... 손으로 종이에 써서 올려보기도 하고 나름 연구를 했지만... 많은 부분이 불편하다. 그러다가 문득 찾아낸 것이 skitch   이넘은 에버노트의 저장소를 이용하고 파워 포인트 툴 같은 느낌을 주면서 깔끔하게 사진이나 페이지를 편집해 줄 수 있다. 첨부 내용은 클라우드 서비스 구조를 생각하면서 스키치에서 그려본 것이다. 이 외에도 손으로 그리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라인 하나하나를 오브젝트로 판단하기 때문에 그림을 그리다가 다른 선들을 이동시키고 만다. 하지만, 이걸로는 좀 부족하다.. 손으로 더 많은 것을 그려내고 싶다. 그러다가 찾아낸 것이 penultimate 라는 앱이다. penultimate 로 Mindmap을 그려보았다. 이 앱 역시 에버노트의 저장소를 이용한 완전히 드로잉만을 목적으로 한 툴이다. 하나의 노트에 모든 앱이 연동이 되면 좋겠지만, 그렇게는 안되는 것이 많이 아쉽다. 에버노트라는 것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PC와 스마트기기간의 동기를 해주는 플랫폼 역할을 해주는 툴이 되고, 다양한 보조 앱들이 부족한 기능들을 보완해 주는 것 같다. 왜 사람들이 에버노트를 그렇게도 찾는지... 조금은 알 것 같다. 참고로, 손으로 그림을 그릴때는 autodesk 사의 sketchbookX 라는 툴이 가장 좋았다. 레이어 기능을 가지고 페인팅 툴도 아주 강력하여 painter나 photoshop을 써본 사람이라면 쉽게 써볼 수 있지 않을까.. sketchbookX를 이용하여 끄적여 봤다..

클라우드에 대한 잘못된 오해들

클라우드 서비스를 얘기하다보면 오해가 많이 생긴다. 오해의 유형을 들어보면, - 클라우드 = 웹하드? - 클라우드 = 가상화? - 클라우드는 보안이 취약다던데? - 클라우드에 올린 서비스는 절대 죽지 않는다? - 클라우드는 비용이 저렴하다? - 클라우드는 리소스 쉐어드 방식이라 다른사람이 많이 쓰면 내가 손해?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인데, 클라우드란 용어의 정의에 대해서 찾아보려 하지 않는다. 보통 처음보는 용어를 어디서 검색하냐고 물으면 십중팔구는 "네이버" 이다. 거의 네이버를 쓰지 않지만 한 번 그들이 왜 잘못생각하는지 그들의 관점에서 보기 위해 네이버에 검색을 해봤다. ..... 광고 뿐이다. 첫 페이지에 클라우드가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내용이 하나도 없다. 그아래 지식인이 보였다. 클라우드에 대한 질문이 많이 보인다. 하나를 클릭해서 봤다. ....... 질문자나 답변자나.... 어디선가 어설픈 지식을 가지고 답변을 하고, 그게 진짜인줄 알게된 질문자는 고맙다는 리플을 달고.. 광고성 리플이 채택이 되고... 결국 왜 그들이 클라우드에 대해 더 모르게되고 어설픈 확신을 갖게 되는지 알게 됬다. 한국 위키페디아에서는 1965년 미국의 컴퓨터 학자가 "컴퓨팅 환경" 이란 용어를 가지고 시작한 것으로 나와있다. 일본어 위키페디아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이란 용어는 2006년 Google의 CEO인 에릭 슈미트(Eric Emerson Schmidt)의 발언으로 처음 소개되었다" 이런 심플한 내용이 한국어로 된 웹사이트에는 찾아볼 수가 없는 현실이 자칭 세계 제일이라는 한국의 인터넷 환경이란 것이다. 각설하고... 위의 오해를 풀어보자면, 클라우드 란 용어는 처음 제창한 에릭 슈미트의 말을 인용하자면, "데이터도, 프로그램도 모두 서버군에 놓고 어딘가의 클라우드안에 있으면 그것을 빼서 쓸 수 있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