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msa인 게시물 표시

ai랑 싸울 수록 논리력 레벨이 올라갑니다!(feat. cursor)

영상버전 :  https://youtu.be/kThkH7FUz1A MCP를 준비하기 위한 툴을 만들려는데 cursor라는 툴이 좋다고 해서 툴을 받았죠. Cursor는 여러분들 쓰고 계신가요?  저역시 나오자마자 쓰는 성격이라기 보다,  이걸 어떻게 쓰면 좋을까를 조사하다가  용도가 생각나면 비로소 쓰기 떄문에 그렇게 빠른 편은 아닙니다.  그래도 요즘은 왜 이제 쓰기 시작했지? 하고 후회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조금은 빨리 손을 대려고는 합니다.  그래도 워낙 귀찮은걸 싫어하다보니 이제야 손을 대기 시작하네요.. Vscode를 주로 쓰기 때문에 Vscode 익스텐션을 찾아봤는데...  다운로드 수가 별로 많아보이지 않고 공식 익스텐션이 아닌 관계로 공식 툴로 테스트를 하기로 했습니다 Cursor.com 이란 사이트에 들어가서 직접 다운받아 설치해보니 vscode 랑 거의 비슷해서 익히는데 시간은 거의 안걸렸는데요 가장 좋았던것이 오른쪽 화면 에서 텍스트를 입력한 대로 코드가 써 지는 것이었죠 이것저것 해보는데처음에는 생각보다 좋은 품질로 코드가 작성되었네요..  mcp 환경을 만들어달라고 했었는데 잘 만들어주더라구요. 여기까지는 많은 콘텐츠에서 cursor의 대단함을 알려주기 위해서 보여주는 내용들과 별 차이가 없을 겁니다.  하지만 여기저기 봐도 실제 프로젝트에서 쓰고 있는 내용을 못찾았구요,  실제로 써본 사람들도 자꾸 코드가 바뀌기 때문에 아직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시더라구요..  이 사람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이 진실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았습니다.  아마 실제로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내용을 보여준 사례는 이번이 처음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 현장에서는 리더가 python을 좋아했기때문에  난 python을 잘 모르지만 python 코드로 작성하기로 했습니다. python 2.5에서 3.0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엄...

당신은 github사용할 떄 README.md 파? wiki파?

소스에 코멘트를 달다보면 끝이 없기 때문에  상세사양을 따로 적습니다. 여러분은 github의 README.md 에 상세를 기입하시나요? 아니면 github의 wiki에 상세를 기입하시나요? 여기서 명확한 답이 아직 서지 않았는데.. README.md에 내용을 넣다보면 소스와 같이 관리되는 장점이 있지만,  README.md만 갱신해도 commit회수가 늘어나고 지나치게 README.md가 늘어날 수가 있습니다.  Func.md 등 여러 파일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소스의 파일이 많아지게 되네요. github wiki를 사용하게 되면 wiki에 걸맞는 여러가지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데. (sidebar나 footer 등) 소스와 따로 관리를 하게 되므로 관리 포인트가 늘어납니다. 그래도 github답게 wiki조차도  다른 git으로 통으로 내려받고 관리가 되네요. MSA를 추구하게 되다보니  저 같은 경우는  root 디렉토리에서 공통 파일을 넣은 core.git과 각각의 모듈들을 각각의 directory로 관리합니다.  관리가 쉽도록  directory name = repository name  으로 관리 중이구요.. (giip는 구 버전 구조라 service별로 쪼개지고  virtual directory구조임) 무엇이 대세다.. 라는 것은 웃기는 얘기구요.. 대세 따라갈 실력도 없으면서 뭐 만든 사람이 했다 라는 이유로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것을 보면.. 언제나 고민해야 하는 것은 이게 MSA가 되었을 때  어떻게 활용해야 심플하면서 확장성이 높은가? 그리고 노드가 망가졌을 때  다른 노드에 무엇만 올리면 되는가? 내가 100개의 노드를 가지고 있다면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