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와 플랫폼을 비교하라는 얘기를 들었다. 이는 사과와 판매대를 비교하라는 얘기이다. 서로 다른 벡터(vector)를 가진 두 단어를 정의가 아닌 비교를 하라니.. 그래서 이렇게 얘기를 해봤다. "콘텐츠는 product이고, 플랫폼은 콘텐츠를 딜리버리하는 방법론 중의 하나입니다. 만약 콘텐츠를 서비스에 올리면 콘텐츠 서비스가 되고 콘텐츠를 플랫폼에 올리면 콘텐츠 플랫폼이라 부릅니다." 이렇게 얘기하니까 갑자기 화난 말투로 "어떻게 콘텐츠랑 플랫폼을 붙여서 생각하지? 콘텐츠는 감성이고 플랫폼은 도구 아닌가?" 음... 이 분은 아는거 같으면서 모르는 거 같네.. "감성으로 만든 프로덕트를 도구로서 딜리버리하니까 이렇게 설명되는거 아닌가요?" 이 설명에 이해를 못하고 화를 냈다. "너는 사람을 가르치려하는게 단점이야!" ---- 더이상 받아들이지 않는 분꼐 상세히 설명을 드릴 수는 없지만, 혹시 지금까지 똑같이 생각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서 설명을 해볼까 합니다. 콘텐츠나 툴등의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프로덕트를 딜리버리 하는 방법론 중에 서비스와 플랫폼등 여러가지 방법론이 있습니다. 서비스는 사업 주체가 공급자가 되어서 유저들에게 딜리버리하는 반면 플랫폼은 사업 주체가 프로덕트의 공급자를 모아서 유저에게 딜리버리하는 방법으로 프로덕트의 소유권 및 책임 여부가 달라집니다. ( 니들이 플랫폼을 아니? 참조) 즉, G마켓, 11번가, 쿠팡 등의 플랫폼 사업은 공급자가 플랫폼 사업 주체가 아니기 때문에 거래로 인한 피해는 당사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구문이 SLA(Service License Aggreement, 서비스 이용 규약)에 명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논란이 언제나 나타나고 있는 이유 입니다. 하지만 자신이 직접 프로덕트를 소싱하여 판매를 하는 소규모 판매 사업자들은 상거래 사업을 직접 운영하므로 스스로 환불, 유저 대응 등을 진행하여 품질 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