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에코시스템(생태계) 설계의 장에서 몇가지 이야기가 오갔다. 요즘 일본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의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못하게 하는 움직임이 있다. 물론 모 토큰 때문에 일어난 이야기지만, 근본적인 철학은 없이 주변에 어떠니까 하는 이야기에 너무 흔들리는 느낌이 강하다. 탈중앙화가 된 근본원인은 중앙은행이 소비자를 속이면서 권력을 휘둘렀기 때문에 그걸 막기 위해 모든 트랜잭션을 공개하여 어느 누구도 속일 수 없게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내가 만났던 모든 블록체인 (소위)전문가는 코인(토큰)의 가치 변화에 손을 대면 탈중앙화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한다. 그 얘기를 듣고 그럼 거래소에서 몰래 장난질 치면서 조정하는 것은 이미 탈중앙화가 아니게 된 거 아닌가요? 라는 질문에 대답을 못하곤 한다. 내가 여기에 남긴 많은 글들은 한 단어의 뿌리에서 그게 어떤 의미로 해석을 해야 하고 어떻게 받아들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게 많다. 이번 내용 역시 나의 논리이지만 많은 곳에서 의견을 듣고 정리한 내용이다. 블록체인이 가져야 하는 탈중앙화는 1. 총발행량과 유통을 투명하게 해야 한다. 물론 이번에 문제가 생겼던 토큰역시 자체 네트워크에서 보면 볼 수 있었으나 거래소들이 발행자의 신고만 믿고 체크하지 못한 책임이 크다. 블록체인은 지갑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모르나 모든 거래가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역추적하면 누구의 지갑인지 대충 알 수 있다. 따라서 발행한 토큰에 장난을 칠 수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 통화 안정을 위해서는 발행자가 책임을 가지고 관리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탈중앙화가 아니지 않느냐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탈중앙화는 기존 시중은행이 지켜야할 담보를 장난쳐서 소비자에게 피해를 가중시켜서 생긴 것이다. 그렇다고 연방준비은행이 통화 안정을 방관하지 않는다. 통화를 발행한 자는 책임을 지고 통화 안정에 힘을 써야 한다. 1/99까지 떨어진 토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