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스트리밍인 게시물 표시

트위치는 정말 돈이 안되어 철수 했을 까? 일반인은 몰랐던 스트리밍 서비스가 돈이 안되는 이유

일반인은 몰랐던 스트리밍 서비스가 돈이 안되는 이유. 영상 버전 :  https://youtu.be/gI_rnpNTTpg 스트리밍 서비스는 크게 Netflix처럼 OTT라는 Over the top의 약자인 영화등의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과 Twitch와 같은 실시간 중계서비스를 사용하는 서비스로 나뉩니다. CDN의 다양한 콘텐츠 딜리버리 기슬중 하나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지요. 전 기술을 설명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여기서 기술 이야기를 하면 다들 주무실 거 같아 패스 합니다.  여기서 유투브, 넷플릭스같은 단방향 방송 서비스는 HLS(HTTP Live streaming)을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게 보통이구요, 트위치나 아프리카 티비는 인터랙티브한 작용이 필요해서 RTMP(Real time messaging protocol)을 주로 사용합니다. 물론 HSL가 실시간 방송이 안된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그 기업이 어떤 프로토콜을 더 많이 쓰느냐의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많은 분들이 유투브가 돈을 많이 버니 유투브 같은 서비스를 설계해 달라고 제게 오는데요.. 단연코 말씀드리는데 유투브는 손해보는 서비스 입니다. 지금은 어느정도인지는 모르겠으나, 2010년 경에는 4조원 매출에 8조원이 인프라 비용이었지요. 응? 완전 적자네요? 그런데 왜 유투브는 하고 있는거지요? 제 말을 안 믿고 그럴리 없다고 서비스 오픈 하셨다가 문닫으신 많은 분들은 아셨겠지만,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놓고 네트워크 비용을 내보셨으면 아실 겁니다. 지금은 클라우드라 종량이라 덜 나갈 거 같죠? 사람들이 얼마 안들어올 서비스를 만들려면 왜 비즈니스를 하려는 겁니까? 사람이 적으면 매출이 없어서 망하고, 사람이 많으면 인프라 비용내다 망하는게 스트리망 서비스 입니다. 그럼 많은 분들이 이렇게 이야기 하시겠죠.. 아마존 비디오는? 넷플락스는? 트위치는? 아프리카 티비는? 그래서 각 서비스의 구조를 설명 드리려 합니다. 우선 유투브의 수익원은 광고 입니다. 촤근 프리미엄이나 구독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