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플랫폼인 게시물 표시

콘텐츠와 플랫폼을 비교하라구?

콘텐츠와 플랫폼을 비교하라는 얘기를 들었다.  이는 사과와 판매대를 비교하라는 얘기이다.  서로 다른 벡터(vector)를 가진 두 단어를 정의가 아닌 비교를 하라니.. 그래서 이렇게 얘기를 해봤다.  "콘텐츠는 product이고, 플랫폼은 콘텐츠를 딜리버리하는 방법론 중의 하나입니다.  만약 콘텐츠를 서비스에 올리면 콘텐츠 서비스가 되고 콘텐츠를 플랫폼에 올리면 콘텐츠 플랫폼이라 부릅니다."  이렇게 얘기하니까 갑자기 화난 말투로  "어떻게 콘텐츠랑 플랫폼을 붙여서 생각하지? 콘텐츠는 감성이고 플랫폼은 도구 아닌가?" 음... 이 분은 아는거 같으면서 모르는 거 같네.. "감성으로 만든 프로덕트를 도구로서 딜리버리하니까 이렇게 설명되는거 아닌가요?" 이 설명에 이해를 못하고 화를 냈다.  "너는 사람을 가르치려하는게 단점이야!" ---- 더이상 받아들이지 않는 분꼐 상세히 설명을 드릴 수는 없지만, 혹시 지금까지 똑같이 생각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서 설명을 해볼까 합니다. 콘텐츠나 툴등의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프로덕트를 딜리버리 하는 방법론 중에 서비스와 플랫폼등 여러가지 방법론이 있습니다.  서비스는 사업 주체가 공급자가 되어서 유저들에게 딜리버리하는 반면 플랫폼은 사업 주체가 프로덕트의 공급자를 모아서 유저에게 딜리버리하는 방법으로 프로덕트의 소유권 및 책임 여부가 달라집니다. ( 니들이 플랫폼을 아니?  참조) 즉, G마켓, 11번가, 쿠팡 등의 플랫폼 사업은 공급자가 플랫폼 사업 주체가 아니기 때문에 거래로 인한 피해는 당사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구문이 SLA(Service License Aggreement, 서비스 이용 규약)에 명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논란이 언제나 나타나고 있는 이유 입니다.  하지만 자신이 직접 프로덕트를 소싱하여 판매를 하는 소규모 판매 사업자들은  상거래 사업을 직접 운영하므로 스스로 환불, 유저 대응 등을 진행하여 품질 만족...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

제목이 조금 거창하지만... 스타트업에게 이야기 할 때 많이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요즘은 IT서비스를 플랫폼화 하여 성장하는 기업이 주류 입니다. 플랫폼은 다수의 공급자와 다수의 수요자를 연결하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거기서 많은 시행착오를 일으키기도 하는데요.. 선택의 기로에 설 때가 많습니다. 선택이란 양쪽이 좋은 것 보다 선택 받지 못한 다른 한 쪽이 손해 또는 이득이 적어지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이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나에게 이득을 주느냐 입니다. 설계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서 한쪽은 재화를 지불 하고 다른 한 쪽은 재화를 얻는 경우가 대부분 일 것입니다. 재화를 지불하는 곳이 재화에 상응하는 편리함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이용자가 줄어들어 아무리 많은 공급자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서비스는 지속되기 어렵습니다. 이걸 가장 잘 알았던 기업이 애플이었죠. 아무리 개발자가 불평이 많아도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이 편리하여 돈을 써주기 때문에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 보다도  애플의 앱스토에 충실 고객이 늘어납니다. 사이먼씨의 이야기를 빌리자면 마틴 루터 킹 같은 종교 지도자나 애플의 유저를 끌어들이는 정책은 일치하고 돈을 지불하는 것에 안심감 및 프라이드 마저 느낄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개발자에 불친절한 앱 관리 시스템에 개발자는 애플을 욕하면서도 앱스토어 출시를 하게 되는 것이지요. 인재파견 및 소개 회사도 마찬가지 입니다. 다수의 수요자는 기업이고, 다수의 공급자는 취업 희망 개인입니다. 물론 양쪽을 편하게 해주면 좋겠지만, 경제 구조상 수익률을 위해 동일 시간에 최대한 노력을 해야하기 때문에 한 쪽은 신경을 덜 쓰게 됩니다. 이 경우 취업 희망자에게 아무리 신경을 쓴다 하더라도  기업이 불편하면 안쓰게 됩니다. 그럼 돈을 지불할 기업이 사라지니 결국 이 플랫폼은 돈이 돌지 않아 망하게 될 겁니다. 그렇다고 구직자를 대충 대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최대한의 서비스를 하되, 시간이 부족하다면, 보다 기업...

이더리움(Ethereum)이 PoW를 버리고 PoS로 가는 이유

Ethereum은 총 네 가지 비즈니스 단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Frontier > Homestead > Metropolis > Serenity 이 중에 두 번째 단계에 접어들었네요.. 세 번쨰 단계인 Metropolis 때는 PoS로 전환한다고 하여 의견이 많네요... 많은 분들이 PoW와 PoS의 차이를 정확히 모르시는데 쉽게 설명을 드릴꼐요~ PoW는 Proof of Work 라고 하여 작업 증명이라는 어려운 기계 번역 스러운 번역을 사용합니다.  이유는 비트코인 전문 서적을 최초로 번역한 사람이 비트코인 관련인이 아니었기 때문이겠죠... 그럼 난 뭐라고 하느냐구요? .... 작업증명... 이죠 =ㅅ=;;; 작설하고.. PoW(Proof of Work)는  코인 거래를 기장하는 장부인  블럭체인의 이력이 정확한지를  다수의 PC(마이너)가  체크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PoS(Proof of Stake) 는 코인의 보유(Stakes)량으로  블럭체인의 이력이 정확한지를 체크하는 방법 을 말합니다.  실제로 마이닝하는 방법은 같지만,  코인을 보유한 전체 지갑(Full wallet)에는 전체 블럭체인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2017년 현재 약 4GB정도?) PoS에는 자신이 보유한 코인의 블럭들이 저장되어 있는데,  코인 거래시에 거래 이력의 확인을 요청하면  각각의 전체 지갑에서 마이닝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 때 자신이 보유한 코인이 많을 수록  가지고 있는 블럭이 많게 되어 자신이 가지지 않은 블럭만 해싱작업을 하면 됩니다.  때문에  많이 소유한 만큼  이미 검증된 블럭을 가지고 있어 해싱을 하지 않고 자신에게 없는 블럭만 해싱하면 되므로 필요한 컴퓨팅 자원이 줄어들고...

니가 플랫폼(Platform)을 아니?

이번에는 2015년에 썼던 글을 다시 한 번 정리하려고 합니다.  언제나 이야기 하듯이 단어에 대해 누구에게나 쉽게 설명하지 못하면 그건 그 단어를 아는게 아닙니다.  여러분도 이 단어에 대해 비 IT이든 전문가 이든 설명해 줄 수 있는지 한 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플랫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다보면 되묻고 싶은 이야기다. 요즘 개발자들 사이에서.. 또는 서비스 기획자들 사이에서 "플랫폼"이란 단어는 필수어가 되었다. 그런데 개발자들 만이 아니라, 기획자, 경영진까지 플랫폼은 필수이다.  웃긴건..  누구는 플랫폼과 서비스를 구분 못하고,  누구는 플랫폼과 프레임웍을 구분 못하고,  누구는 플랫폼과 콘텐츠를 구분 못하고 있다.  이번에는 플랫폼과 서비스를 구분해 보고자 한다.  그런 사람들끼리 이야기하다가 플랫폼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본다. "플랫폼이 뭔가요?" 누군가 대답한다. "아직도 플랫폼을 몰라요?" 그럼 이렇게 되묻는다. "네.. 제가 잘 몰라서요.. 좀 알려주시겠어요?" 상대방은 IT시스템 어쩌고 하면서 횡설수설한다.. 얼마전 TV에서 플랫폼전문가가 요즘 IT쪽에 도는 플랫폼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고 보라고 권장해주었다. TV를 찾아서 보았다. 플랫폼의 정의에 대해서는 나름 이야기를 했다.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 그리고 카카오톡을 성공한 플랫폼이라고 했다. 어짜피 성공한 사업에 이름을 붙이는 것은 쉽다. 성공한 주식의 과거를 분석하는게 쉽듯이.. 하지만 성공하지 못한 사업, 그리고 지금 이것이 플랫폼인지 알 수 있는 사람은 몇 안될 것이다. 단어의 의미를 한 번 다시 생각해보자. 그럼 플랫폼은 언제 시작했을까? 18세기후반 부터 19세기에 걸쳐서 약 100년정도를 산업혁명이라고 불렀다. 산업 혁명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별도 코너로 만들었습니다.  음성 :  https://y...

나도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

얼마전 서점에서 책을 보던 중에 재미있는 책을 보았다. 지금은 책 제목을 잊어버렸는데.. 플랫폼에 대한 내용으로, 저자는 일본인이었다. 플랫폼이란 용어를 처음 쓴 사람에 대한 이야기와, 플랫폼에 대한 개념, 그리고 플랫폼의 잇점에 대한 이야기를 한 것이다. 집에 돌아오는 길에 머릿속에 계속 남았다. 다음주 다시 서점을 찾았을 때는 그 책은 사라졌다. 제목이 기억이 안나, 플랫폼이란 단어가 들어간 책을 찾아보았다. 우리나라 책도 몇 권 눈에 띄었다. 내가 찾던 책도 찾았다. 위치를 이동한 것이다. 책을 다시 보면서 내용을 다시 정리해보았다. 그리고 한국사람들이 쓴 책도 두어권 읽어보았다. "플랫폼 전쟁" 이란 말이 눈에 띈다. 우리나라의 책의 특성인지는 모르겠지만, 호전적인 제목, 강렬한 제목들.. 그리고, 내용을 보다가 덮었다. 가장 마음에 들지 않았던 내용은, 플랫폼의 사전적인 의미풀이, 그리고 너무 큰 규모만 예를 들어 일반인의 접근을 불허하는 듯한 느낌의 설명. 책 내용에 이런게 있다. "플랫폼 시장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기존에 있는 대형 플랫폼에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서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일본사람이 적은 가장 마음에 드는 내용이 이런 내용이 있다. "플랫폼은 누구나 만들 수 있습니다. 가령 나의 주변에 친구들이 있는데, 남자들을 찾는 여자들, 여자들을 찾는 남자들이 있습니다. 이들을 엮어주는 맞선클럽을 만들어주면 이런 맞선클럽이라는 소비자와 공급자를 이어주는 장(場)을 플랫폼이라 할 수 있으며 이미 당신은 플랫폼을 만든 것입니다." 플랫폼이 처음 유명하게 된 것은 기차라는 공급자와 이동을 목적으로한 사람이라는 수요자를 엮어주는 장으로서의 정거장(station)을 플랫폼이라고 불렀다는 내용에서 급속도로 확산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미, IT와는 상관없는 곳에서 만들어지고 전 분야에서 널리 퍼져있는 이 단어는 왜 유독 윈도우즈(Wind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