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openai인 게시물 표시

DeepSeek의 소스를 까보자..

영상버전 :  https://youtu.be/zFXmIoSQU5Q 요즘 핫한 이슈니까 좀 얻어타볼께요..  제가 좋아하는 안될공학 이란 곳에서 공식 문서나  기타 정보를 베이스로 신뢰성있고 깊이 있는 정보를 다뤄주고 있어서  그 곳을 참고하시면 왜 DeepSeek가 생각보다 부풀려 있는지를 잘 이야기 해주고 있습니다.  거기까지 가서 보기 귀찮으신 분들께 요약을 해드리자면 DeepSeek는 결고 학습 비용이 싸지 않습니다.  이건 DeepSeek의 공식 문서에서도 나와 있는데요,  거의 1/10의 비용을 들였다고 하는 부분만 기사화가 되어서  다들 그런줄 아시는데,  필요한 전제 학습은 모두 끝낸 뒤 마지막 테스트 비용이 1/10이라서 전제 학습에 들어간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야기 입니다.  즉, 그게 100배 들어갔는지 알 방법이 없는거죠..  두 번쨰, 오픈소스라고 했는데,  AI개발하시는 분들은 다들 아시겠지만,  AI는 이미 Python의 pytorch나 tensorflow 모듈을 설치하고  거기서 호출하는게 다 입니다.  즉, 모든 알고리즘은 1950년대에 이론이 완성되었구요,  그 알고리즘들의 조합을 이용한 여러가지 방법론이  클라우드 시대의 분산 컴퓨팅 파워를 활용해서  나오기 시작한거죠.  그 조합 중에 Neural Network가 있는거구요,  Neural Network의 조합 개념을 활용하여  알고리즘 조합 차이로 DNN과 CNN, SNN이 있는 겁니다. 그 중 DNN을 활용한 것 중에   transformer라는 방법론이 있는거구요,  이번 deepseek의 오픈 소스를 보시면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Pytorch의 transformer의 모듈을 그냥 갖다 쓴게 아니라 어짜피 transformer도 여러가지 알고...

AI를 활용한 나만의 콘텐츠로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참가해보지 않으시겠어요?

영상버전 :  https://youtu.be/yuVUl4X1NS8 유튜브로 영상을 만든다는 것에 너무 돈만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예전에도 자료를 찾다가 봤는데.. . 성공의 의미에 대해서 여러 나라의 불특정 다수에게 질문을 했다고 합니다.  그 중에 성공을 재력이라고 생각한 사람이 가장 많은 나라가 대만이었고,  2위가 한국이었다는 기사를 접한 적이 있는데..  요즘 한국의 뉴스나 여러 정보들을 보면  돈 때문에 더욱더 살벌해지는 사회가 되어 가는 것 같습니다.  돈은 많으면 많을 수록 좋은 것은 저도 마찬가지 입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돈이 최우선이 된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여러가지 면을 고려하여 나의 미래나 인간관계 등등을 고려해서  오랫동안 살면서 다른 사람들을 해하지 않고,  욕먹지 않고도 벌 수 있는 최대한을 뜻합니다.  뭐, 유튜브에 목매다는게 뭐가 남을 안좋게 하느냐?  라고 질문하시는 분들이 꼭 계시겠지요..  잘 보시면 여러 문제들이 불거져 나오는 게 보이시죠? 그런 문제가 된 유투버들은 처음부터 그런 문제를 일으켰을까요?  과도한 유저모으기 집착에서 일어난 거짓들 아닌가요?  게다가 얼마전 과학 유튜브 등의 복사를 공공연하게 해도 된다고 권유하는 채널도 생겼었죠.  그건 원본을 가진 작자에게 큰 피해를 주는 것 아닌가요?  결국 나만 잘되면 다른 사람들은 피해를 봐도 된다는 생각에서 오는 것이겠지요.  서론이 너무 길었죠?  이 콘텐츠의 대상은 영어를 엄청 잘하시고 책을 좋아하면 잡학이 많으신 제 지인을 위해서 올리는 콘텐츠 제작 매뉴얼입니다.  전제조건은, 잡학이 많아서 자신만의 꿀팁을 메모 대신으로 만드는 것, 그리고 비 IT 레벨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우선 유튜브 채널을 만드셔야지요.  유튜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