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전직인 게시물 표시

면접에 정답지가 있다?

영상 버전 :  https://youtu.be/xcqfbckCDr4 면접 연습을 도와주면서 느낀 것이 있습니다. 만약 취업 또는 전직을 준비하시는 여러분들 중 참고가 되는 내용이 있으면 좋겠네요.  면접 정답지? 혹시 어딘가에 면접에 붙는 정답지 같은 것을 찾아서 그걸 기준으로 면접을 준비하고 있지 않나요? 그런 정답지 같은것을 어디선가 구하셨다면 버리세요.  전에도 이야기 했지만, 일본인 신졸자 들은 100에서 150개 회사에 지원을 합니다. 그 중에 평균적으로 50개 정도 기업에서 면접을 보구요,  그 중에 서너개 기업에 내정 통지가 되어  그 곳에서 자신이 가고 싶은 기업을 선택하게 되지요.  이들이 그런 정답지를 기반으로 엄청나게 연습하는 사람들입니다. 여러분은 입사를 위해 지원을 몇 개 업체에 했나요? 그리고 면접은 몇 번 보셨나요? 애매한 정답지 외우기 정도로는 엄청나게 연습한 일본인의 면접은 따라갈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난 외국인인데 하면서  외국인의 입장에서 봤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면 베트남등지의 외노자와 비교되겠지요.  일본에서 베트남 외노자 처럼 20만엔 전후로 먹고 살 사람이라면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럴거면 왜 일본까지 굳이 오시려 하나요? 그럼 어떻게 하느냐구요? 여러분의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낼 방법들을 찾아내셔야 합니다.  내용에 대한 것은 뒤에 다시 언급해 볼께요. 일본IT가 낙후되었다? 면접시 일본it가 낙후되어서 한국의 기술력으로 일본에서 일하기 좋을거라는 식으로 면접 스크립트를 쓴 경우를 본 적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면접관이고  베트남 사람이 와서 한국 it가 좀 떨어져서 일하기 좋을 것 같아서 왔다고 하면  기분 어떠신가요? 일본사람들은 어느 누구도 일본it가 한국에 떨어진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제 콘텐츠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한국보다 10배 큰 IT 시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보면 한국의 IT인력이 가성비 외에 큰 메리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기 힘듭니다.  2천만 인터넷 인구를 가진 한국에서  1억 인터

SI나 SES에 들어가서 후회 하는 사람과 기회로 삼는 사람의 차이

영상버전 :  https://youtu.be/QXY7Jz-lfFo 저보다 좋고 알찬 내용의 영상들이 많은데요..  좋은 내용들을 보면 제 채널의 공개 플레이 리스트에 넣어 놓고 있습니다.  제 영상만 보지 마시고, 채널 내의 다른 분들의 좋은 영상들도 보시면 좋을 거 같네요. ^^ 그리고 제게 참고가 되거나 다른 분들께 알리면 좋은 영상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플레이리스트에 넣어 두겠습니다.   아마 끝이 나지 않는 논쟁이 될 거 같은데요..  이번 영상으로 욕을 하실 분들이 많을거라 봅니다.  하지만, 5년 이상 경력을 갖게 된 분들은 아마 제 이야기에 공감하거나 후회를 하신 적이 있을 겁니다. 자신이 몰랐던 신입때 이런 것을 가르쳐 줬으면 하는...  이런저런 다른 분들의 영상을 보면 ses나 si기업들의 단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그 영상들에서 느끼는 단점이라는 부분들이 오히려 제게는 장점이 되어 왔기에 지금의 제가 있는게 아닐까 하는 마음에 감히 언급 해봅니다. 어떠한 상황에서든 마음가짐과 받아들이는 태도나 의지에 따라서는 무한히 바뀔 수 있다고 봅니다.  이걸로 편견이 조금은 사라졌으면 하네요. 물론 제가 누누히 강조한 27번 전직 중 반은 일반 it회사, 반은 si또는 ses를 경험했기에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한쪽만 경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중립적 입장에서의 판단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우선 제일 황당했던 불만 중 하나가 있어서 제일 먼저 끄집어냅니다. “일 안시키고 방치” 사회 초년생이 si프로젝트에 들어갔는데 6개월을 일을 안줬다는 것에 힘들었다고 하네요. 한국의 교육체제가 얼마나 잘못 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 생각합니다. 중고등 학생까지는 부모가 학원도 찾아주고 데려다 주면서 떠먹여 줬으니까 그렇다 칩시다. 대학부터는 반 사회인으로서 스스로 자립을 준비하는 기간인데, 스스로 판단해서 수강 신청하고 학점관리하고, 나는 시간을 자신을 위해 쓰는 법을 배우는  반 자율에 맡기는 기간인데요.. 이 때 여러분은 단지 시키

전략적 퇴사. 퇴사 준비는 되셨나요?

영상버전 :  https://youtu.be/4BZJ4t3KeQk?si=2OrD6KAI7ZQQx5W9 전략적 퇴사. 퇴사 준비는 되셨나요?  퇴사를 생각하는 사람들은 각자 자기만의 이유가 있어서 퇴사를 하고 싶은 것일 겁니다.  상사와의 문제,  회사와의 방향성의 문제,  내가 멈추어 있는게 아닌가 하는 불안함..  주변과 비교된 자신의 연봉의 불만 등등 27번 회사를 옮긴 저의 경험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공유를 할까 합니다.  우선,  다음 직장이 정해지지 않았다면 퇴사는 고려해 보셔야 합니다.  물론 두어달 휴식기를 거치고 다시 일을 하고 싶은 분들도 계시겠지요..  이건 어디까지나 일본에서의 이야기 입니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부분이 있으면 참고하시면 좋겠지만, 다르다면 그런가보다 해주세요..  일본은 내정이 되었어도 입사일을 자기가 결정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리프레시 등을 생각해서 입사일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제가 한국에서 일했을 때는 그런거 없었거든요..  한 달 뒤에 가면 안될까요? 하면 바로 입사 취소 됬던 시기에 한국에서 일을 했었지요.. 그리고 전직을 생각한다면 지금 보다 연봉면에서 20%이상 나은 곳으로 갈 수 있는지? 20%는 좀 무리가 있어보이지요?  하지만 자기가 준비가 잘 되어 있다면 50%나 100% 업도 가능하답니다.  전에도 이력서 관련 콘텐츠에서 말씀 드렸듯이,  그 기업이 나로인해 얼마나 재화를 창출할 수 있을지를 스스로 계산할 줄 알고,  그에 맞는 제안을 할 줄 안다면 충분히 받아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다지 차이가 없는데 전진 컨설턴트의 영업에 넘어가서  이직을 했다면, 그 다음 이직에 충분한 점프업이 안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냥 조금 싫어서 도망치는것이라면  도망친 곳엔 낙원이 없습니다.  어디가나 싫은 상사, 싫은 업무, 싫은 조건이 있거든요.. 퇴사 이유 중에 또한가지 있지요..  자기 사업을 위한 퇴사.  이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퇴사하고 나서 시작해야지 하면 너무 늦습니다.  퇴사 전

IT컨설턴트가 되는 두 가지 방법 및 실제 컨설팅 업무 사례

듣기 버전 :  https://youtu.be/Qj7ibSDA7_Y 컨설턴트가 되는 두 가지 방법 구독자 분의 질문이 있어서 콘텐츠를 만들어 봅니다. 제대로 된 학력으로 컨설팅 펌에 들어가서 기초부터 배우기 제대로 FM이라고 봅니다. 장점은 처음부터 신입 컨설턴트로 바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험이 제로이다보니 문서 작성 방법부터 배우고 거의 수 년간은 베테랑이 만든 문서의 이쁜이 작업이라고 불리는 베테랑이 대충 틀에 맞추어 적은 것을 와꾸에 맞추어 띄어쓰기, 줄바꾸기 및 배치 조절, 관련 이미지 가져오기 등등의 문서 편집 작업이 메인이 되구요, 회의 참여해서 회의록 작성 및 정리, 고객들에게 연락해서 필요 자료 받기 등 허드렛일을 한참을 하게 되지요. 그리고 어느 정도 레벨이 올라가면 컨설팅 보고서 작성이 다양한 부분으로 나뉘는데 그 중의 한 부분을 맡아가면서 조금씩 영역이 확장됩니다. 하지만 이 경우 기술베이스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리포트 중에서 개념이나 환경조사 등의 기술과는 상관없는 내용을 담당하게 되겠지요.. 이렇게 해도 컨설턴트로 자리를 잡을 수는 있으나, 제가 같이 들어간 프로젝트에서 타 컨설턴트들이 제가 문서 작성하는거 보니 제게 기술을 배우고 싶다는 표현을 많이 하더라구요..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을 최대한 설명해주긴 했지만, 역시 깊이 있는 자료를 만들 때는 막히면서 답답해 하는게 있다보니, 이런 부분의 공부를 계속 해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전으로 배워서 컨설팅 프로젝트의 실무로 참여하기 실전으로 컨설팅 사업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대부분 자기가 잘하는 업무를 문서화 하는 작업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래도 프로 컨설턴트의 문서력만큼은 나오지 않기 때문에 기술 위주의 텍스트를 많이 지적 받으면서 수정해서 제출하게 되면 그걸 기반으로 컨설턴트 들이 이쁘게 재작업을 해서 만들어줍니다. 만약 여기서 멈추지 않고, 내 문서가 어떻게 이쁘게 바뀌었는지를 열심히 보고 배우게 되면, 스스로 컨설턴트 없이 기술 분야의 문서를 만들

이력서 잘 작성하는 방법?

이력서를 안써본 사람은 아마 거의 없겠지요? 하지만 이력서를 자신있게 쓴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예전에 지내던 한 쉐어하우스에 12월이 되니 지방에서 3학년 학생들이 한 두달을 계약해서 많이 들어오더라구요..  일본은 3학년에 자기가 원하는 회사에 입사원서를 내고 합격을 하면 다시 돌아가서 4학년을 보내고 그 다음 해부터 취직을 하게 됩니다.  그 때 제가 면접 연습을 도와주면서 많이 물어봤는데요..  보통 100~150개 회사에 이력서를 낸다고 합니다.  그리고 괜찮으면 그 중에 10개 전후 회사에서 내정 통지가 오구요..  그 중에서 최종적으로 하나를 정해서 간다고 연락을 한다고 하네요..  즉, 9개 회사는 내정 통지를 줬는데 안간다고 답변이 온다는 얘기지요..  그래서 그것까지 예상해서 많은 수를 뽑아 대기 자 명단에 올려 놓는다고 합니다.  대기 1~3순위는 대체로 들어갈 수 있다네요..  원래부터 회사 직원을 뽑는 입장에 놓인지 거의 10년 정도 되던터라 재미 있게 면접관 놀이를 해주고 나중에 고향인 오키나와로 돌아갔을 때 저도 놀러간 적이 있어요.. ^^;; 오키나와 만의 알려지지 않은 맛집이라던가 여러가지 재밌는 팁을 들었지요..  그 후로 벌써 10년이 지났나요? 면접관의 입장에 많이 서본 사람으로서  경험이 적은 사람도 자신있게 이력써를 쓰는 방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이력서 포맷 있잖아요..  이거 법으로 정해진거 없습니다. 꼭 따를 필요가 없어요..  이력서 포맷에 맞춰서 쓰다보면 내가 하고 싶은 내용이 잘 전달되지 않습니다.  특히 사회 경험이 짧은 사람들은 이력서 포맷을 보면 학력, 경력을 적는 란이 대부분이라 공백밖에 안보이게 되지요.  그리고 많은 똑같이 생긴 지원서 속에 파뭍혀 파쇄기행이 되어 있겠지요..  게다가 역으로 저 처럼 27번의 이직력이 있는 사람은 최신 순으로 적으면 중간에 잘려서 오히려 경력이 짧은 것 처럼 느껴집니다.  이렇게 많은 이직력으로 어떻게 살고 있냐구요? 심지어는 이직을 좋은 시선으로 보지 않는 일본에

IT컨설턴트란? 세일즈 컨설턴트와는 다른 전문 직종입니다!

수 년전 한국에 잠시 가서 일을 했을 떄  컨설턴트라고 소개한 적이 있었는데,  사람들은 단순히 영업하는 사람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 충격이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컨설턴트는 세일즈컨설턴트 정도 뿐이었나보더라구요..  게다가 세일즈 컨설턴트보다는 세일즈맨에 가깝고 기술력은 거의 찾아보기 힘든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일본에서의 IT컨설턴트의 지위는 상당히 높습니다.  일단 아무나 컨설턴트란 이름을 내세우지 않고,  컨설턴트들은 자기의 분야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모든 컨설턴트가 그런 것이 아니고, 영업에 치우친 사람들도 있지만 말이죠..  2007년 경이었습니다. 고객이 컨설팅 요청을 했습니다.  자기네 시스템을 이관해야 하는데 ORACLE을 사용하는 시스템이고 유저 수십만이 접속할 수 있는 정도 스펙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여러 서버 업자에게 견적을 받았는데 INTEL Xeon도 있었지만,  AMD서버가 거의 60%가격으로 굉장히 메리트 있게 왔다고 합니다.  인텔은 2코어 였고, AMD는 4코어 인데도 말이죠.  이 AMD서버를 구입해도 되는지에 대한 조언을 요구했습니다.  제대로 된 컨설턴트라면 어떻게 얘기할까요? Intel Core는 단일 코어의 같은 클럭에서 처리 성능이 좋습니다.  그리고 AMD는 그걸 보완하기 위해서 코어수를 늘렸지요.  왜 AMD는 같은 CPU인데 인텔보다 같은 클럭에서의 처리 성능이 낮을까요? 이 이유는 OS라는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랑 통신할 떄 사용하는 Machine code라는 어셈블러를 사용하여 OS의 명령을 처리하게 됩니다.  각각의 CPU벤더는 자기만의 머신코드와 코어 기술을 가지고 연산을 하기 떄문에 하나의 처리에 동일한 클럭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어셈블러의 명령어 체계에서부터 에뮬레이트 되거나 다른 처리를 하게 되기도 하지요.  이 때문에 생기는 성능적 열세를 막기 위해 클럭수를 높이거나 코어를 늘려 대응을 하고 있지요.  AMD역시 4코어로 만들고 나서야 인텔 2코어보다 조금 더 높은 성

이직을 생각하는 분들을 위한 조언

이력서에 27번째 회사를 기입했습니다. (물론 링크드인에는 안적죠..) 프로이직러? 인지는 모르겠으나, 많은 이직하시는 분들께 들려드리고 싶은 경험의 이야기 입니다. 가끔 대기업에서 면접을 보자하고 물어봅니다. "이렇게 자주 이직하면 좋은 회사에서 안뽑아주지 않나요?" 제가 대답합니다. "제 이력서 보시면 어디가 안 좋은회사일까요?" 실력만 있다면 이직의 횟수는 그냥 숫자일 뿐입니다. 소신만 있다면 면접관은 이직의 횟수에 개의치 않습니다. 그리고 여기가 마지막 회사이길 바라면서 들어가게 되면 조금 안좋아도 포기를 하고 적응하게 됩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는 제게 맞는 회사가 나타날 때까지 이직을 하는 편입니다. 조금 안맞아도 그건 제게 마이너스이니까 좀 더 빨리 이직해서 시간 로스를 줄이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이직할 타이밍과 이직 전에 준비해야 할 것 이죠. 이직은 보통 2~5년 사이에 이직하는 것이 좋습니다. 2년 미만은 무언가 이상하다 여기는 경우가 많고 5년이 지나면 왜 잘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는지 이상하게 여깁니다. 물론 저의 경우는 더이상 배울 것이 없으면 빨리 환경을 바꾸어 제로부터 시작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고생은 더 하나 같은 기간에 훨씬 많은 경험을 얻게 됩니다. LOL같은 게임도 그렇죠. 얼마나 같은 것을 많이 반복하느냐가 실력인 것 처럼, 회사에 처음 들어가서 얼마나 빨리 적응하고 많은 것을 내 것으로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들어간 지 2주만에 2년차보다 더 환경 파악을 잘 하게 되는 힘을 얻게 되죠. 이직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은,  현 직장에서의 지식을 모두 정리해 두는 것. 언제든 필요할 때 꺼낼 수 있도록 머릿속에 넣어 두는 것이 실력입니다.  설계서나 사양서를 만들어야 할 때 언제든 엑셀 하나 열어서 포맷 부터 만들 수 있을 만큼 머릿속에 들어가 있어야 기본이 된 것입니다. 이직은 보통 쉽게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직시 20%이상 급여를 올릴 생각으로 가지 않으면 안하는게

이직이 의미 하는 것은?

요즘 자주 전화로 상담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체육예술(?)계에 있다가 허리를 다치고 늦은 나이에 업종을 IT로 변경하여 뛰어든 사람이다.  나이와 여자 라는 입장 때문에 취업도 힘든데다가,  지인의 소개로 들어온 중견 제약업계.  하지만 IT지식이 적은데다가 그 나이에 비해서는 사회 경험이 적을 수 밖에 없던터라  딱딱한 업계 현실에서는 모난 돌이 되어 있다.  당연한 질문에 그런 질문을 납득할 수 없는 상황.  경험이 적어서 실수를 할 수 있으나 그 나이에서는 있을 수 없다는 반응.  하지만 소개해주신 분의 체면을 위해서 버틸 수 밖에 없지만,  공부를 위해서 남아서 기존 소스들 보면서 빨리 전체를 파악해서 실수를 줄이려 하자 늦게까지 남아서 회사 식당을 쓰지말라는 지시와  야근을 하면 그 성과를 보고해야 한다고 말하는 상사.  면접 볼 때의 열린 마음을 가진 듯한 표현과는 달리  자신들의 세계에 맞지 않으면 내치는 이면을 보면서  많은 스트레스와 눈물로 버티고 있다고 한다.  내 결론은 심플하다.  그냥 사표를 면상에 던지고 나와라! 내가 한국을 떠난 결정적인 이유는 그런 갑질하는 중간자들이 너무 많아서 회사가 좋은들 내가 살기 힘들어서 떠났다.   가장 큰 손해는 거기 남아서 받은 스트레스는 집에와도 후유증이 남아서 더 많은 시간을 쉬어주어야 풀린다.  만약 좀 안좋은 회사지만 스트레스가 없다면 나는 집에 돌아와서 더욱 많은 시간 공부를 할 수 있다.  집에 지쳐서 들어가서 버리는 시간은 평균 3시간. 1년을 모으면 단순계산으로 1095시간을 아낄 수 있다. 그 얘기는 토익 만점 받으려면 1시간씩 80일 공부하면 된단다.(기준과 사람 차이는 있겠지만)  당신이 업무 스트레스로 받은 손해는 몇 개 국어를 숙달할 수 있는 시간이 된다.  조금만 힘들어도 회사를 그만둔다느니 하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그 힘들지만 참아야 할 때와 힘들면 안되는 때는 잘 생각해야 한다.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로 그걸 넘어설 때의 얻는게 많은 경우는 참아야 한다.  하지만,

프로가 된다는 것(월급을 받는다는 것)

요즘 사람들과 얘기를 하다보면 뭔가 다르네 하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뭐, 요즘 사람들 한정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딱 잘라 말하자면,  프로가 된다는 것은  내가 하는 일에 돈을 받을 수 있는 것.(돈 받은 만큼은 일해주는 것) 하기 싫을 때에도 해야 하는 것.(돈을 받았으니) 내가 배우는 것이 아니라 내 경험과 시간을 팔아서 돈을 받는 것 학교에 다닐때와는 달리,  사회에 들어간다는 것은 회사와의 계약으로 계약 내용을 지킴으로서 돈을 받는 다는 것이다.  인턴 같은 경우야 당연히 배우기 위해서 적은 급여로 들어가는 특수한 케이스이겠지만,  내가 프로가 된 시점에서 프로야구단에 들어간 것과 같이  성적이 안나오면 잘리거나 감봉 등등을 감안하는 것이다.  프로야구 선수의 연봉은 매 계약시마다 널뛰기 하는 대신 일반 회사는 어느 정도 맞춰주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렇다면 그 어느정도에 맞추어 일을 해줘야 하지 않을까? "배울게 없어서 이직해야겠어요" 라는 사람들에게 한 마디 해주고 싶다.  "넌 학교랑 착각하고 있는거 아니니?" 또 이런 사람들도 많다.  "회사가 비전을 제시해주지 않아요" 회사의 계약에는 비전을 제시하는 조건으로 일을 시키는 조항은 아무리 봐도 없다.  이미 소속감이 사라진지 오래된 이마당에 그런 말 하는 사람에게 비전을 준다고 정말 안나갈까? 회사가 준 돈만큼 일을 했는지만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봐라.  누군 놀면서 얼마 받는데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회사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일을 하는게 회사와의 계약이다.  어짜피 다른 사람들 부러워 하는 사람들은 자기는 그런 위치에 뽑힐 능력 없으면서 지금있는 상태를 더욱 편하게 하고자 할 뿐이다.  내 연봉을 계산하는 간단한 방식은 이렇다.  내 액션으로 회사가 얻어지는 수익의 1/10 정도를 받을 수 있으면 정당하다.  왜냐하면 회사는 브랜드, 팀원, 시스템 등이 날 도와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혼자 해서 이뤄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