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스쿠터인 게시물 표시

일본에서 스쿠터로 2년간 2만킬로 달려봤습니다..

영상버전 :  https://youtu.be/cjkW4sXpSXs 2022년 5월 17일에 납차를 했지요.  일본에서는 노우샤 라고 해서 차를 받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한국에선 여러 의미로 악명이 높은 pcx이지만,  일본에서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바이크들이 있기 때문에 길에서 가끔 pcx를 만나면 반가울 정도로  그렇게 많이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단일 기종 중에는 언제나 금방 1년치가 품절 되는 모델이긴 하죠.  일본에는 매년 4만대만 판매 한다고 하네요..  1000만 바이크의 나라에서 겨우 4만대만 팔다니… 오히려 일본에선 레블이 더 많이 보일 정도랄까요.. 사실 125cc라는 것은 가성비로 사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굳이 125cc중에 비싼 pcx를 사는 사람이 적구요,  비싼 바이크라면 250cc나 그 이상을 선택해도 가격대가 비슷한데다가 일본에서는 면허 따는데도 큰 차이가 없습니다.  심지어는 125cc면 고속도로도 못타니 반쪽짜리라서 도심에서 가볍게 즐기는 사람들이 아닌이상 250cc이상을 고르게 되죠.  그러다보니 일본에선 pcx라는 고급형 125cc라는 입지가 상당히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본에선 굳이 150cc나 160cc pcx가 있는 것이지요.  연비 좋고 고속도로 탈 수 있는 편리한 스쿠터 라는 느낌이죠.  아뭏든,  저 역시 도심 위주로 타면서  2024년 2월까진 전혀 문제 없이 탔다가  2월에 사고가 한 번 났었죠.  상대 차가 앞도 보지 않고 들이 밀었기 때문에  제 과실은 없었지만,  그래도 사고는 사고라..  이렇게 사고도 나보고  하면서 2년 넘게 2만km를 일본에서 몰아보고 난 소감을 조금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우선 안전했다!  차들이 위협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자전거 주차장...

50cc 원동기 바이크 2025년 5월 일본 생산 종료

영상 버전 : https://youtu.be/F2mC_4VP_FE 2025년 5월 50cc 생산 종료 한다고 합니다.  원래는 2025년 10월이라고 발표했다가 일본 내 배기가스 신기준이 6월에 발표된다고 하여 5월로 앞당겼다고 합니다.  대상 기업은 혼다, 스즈키이고, 야마하는 50cc를 혼다에서 OEM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혼다에서 생산 종료하면 동시 종료 대상이라고 합니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3a7837d8c51bd6b69c74c8b93bb428b7efd20a33 이유는 50cc는 배기가스 규제 대상이 되어 종료 된다고 합니다.  일본에서 생산하는 바이크나 차는 해외 수출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유로5에 맞추어야 하는데,  유로5는 2020년 부터 단계별로 배기 가스를 기준치 이하로 줄여야 하는데,  50cc바이크는 엔진 사이즈가 작아서 저온에서의 배기 가스양이 기준치를 웃돌기 때문에 50cc엔진으로는 무리가 있다고 하네요..  즉 처음 시동 걸 때 가장 매연이 많이 나오는데, 125cc는 아슬아슬하게 그 기준에 적합하지만, 50cc는 꽤 오랫동안 기준치 이상의 배기가스가 나와서 문제라고 합니다.  물론 50cc라고 하더라도 먼저 엔진을 가열후에 시동을 걸면 되지 않느냐?  라고도 할 수 있지만,  50cc모델의 가장 큰 메리트는 가격인데,  가열장치나 온도 센서, 제어장치들을 달 비용으로는 50cc를 만들어도 가격적 메리트가 사라지게 되겠지요.  125cc는 그런 가열장치나 온도센서, 제어장치 같은거 없이도 유로5에 적합하니 말입니다.  50cc가 유럽에서도 인기가 있기 때문에 50cc판매가 불가능해지면 그만큼 팔리지 않게 되어 생산 단가를 맞추기 어렵다고 판단한 일본은, 가성비가 나오지 않는 50cc모델은 전동 모델로 대체한다고 합니다. 이미 혼다와 스즈키는 전동 50...

전동 자전거(스쿠터?) Cyrusher XF500

전동 자전거를 구입했다. 유투브(youtube)에 소개 영상이 있었다.. (산 다음에 알았지만...) https://www.cyrusher.com/en/i/Cyrusher-XF500-Mini-Folding-City-Ebike-JP-48V-250W?sid=27BC 결론 부터 말하면, 자전거 보다 스쿠터에 가깝다. 전동 어시스트 모드가 있고, 각 모드당 파워가 달라서 선택하고 달리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어시스트(일본기준)라는 것은 페달을 밟을 때의 토크를 센싱하는 장치가 있어, 밟는 순간 토크와 같은 힘을 모터에 실어서 자연스럽게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하지만 중국산 자전거의 대부분은 이런 센서가 비싸서 일정 시간 회전(약 1~2초?)을 감지하면 모터에 100%의 힘을 보낸다. 때문에 중국산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를 타보면 처음에는 자력으로 페달을 밟아야 하므로 힘들게 밟고, 갑자기 앞으로 튀어나가는 느낌을 받는 어색함을 느낄 것이다. 게다가 100%의 전력의 파워를 조절할 수가 없다보니 전동의 단계가 조절이 가능하다고 표기된다. 일제는 대부분 토크 센서를 이용하여 전원을 켜거나 토크의 강도의 1배를 줄것인지 0.5배를 줄 것인지를 선택하는 약, 강 정도만 있다. 일본의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를 타보면 중국산은 타기 힘들다. 난 파나소닉제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도 사봤고, 중국제도 사봤기 때문에 이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400W모터를 탑재한 풀 전동 모드 기능을 보고 이 제품을 골랐다. 일반적인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는 250W를 사용하는데, 오래 타면 다리의 힘은 계속 써야만 하므로 일반 자전거보다야 편하지만 피로감을 억누를 수 없다. 그렇다고 800W나 1000W는 뭐 스쿠터... 그래서 400W정도로 사봤는데, 이게 정답! 풀 전동 모드로 20인치 휠을 사용해도 30Km/h 정도 속도가 나오고, (26인치는 일반 자전거 사이즈로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음) 크기나 사용감이 아주 적당하다. 내가 자전거를 고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