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컨설턴트인 게시물 표시

일본 IT 컨설턴트의 어느 하루 (파견직 외노자)

영상버전 :  https://youtu.be/f3IvPlthiFY 9:50 기상..  9시 50분에 기상해도 되냐구요? 침대에서 10걸음이면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재택이니까요!  요즘 몸이 안좋아서 자주 깨는 바람에 늦게 일어나네요..  몸이 괜찮을 때는 일찍 일어나서 여러가지 일을 하는데요..  요즘 어깨가 너무 아파서 1시간 마다 깨기도 하는데 50견이 원래 이렇게 아픈가요? 중간에 진통제를 한 번 더 먹고 어떻게든 잠이 듭니다... 9:55 반쯤 잠긴 눈으로 작업 개시 알람을 slack에 보냄 출근이 없다는게 얼마나 다행인지..  이젠 출근하는 현장은 못갈거 같네요..  저에게 Slack이 필수인 이유는요.. 일본은 보통 프로젝트마다 고객에게서 이메일 어카운트를 받아서 그걸 기준으로 연락 및 공유등을 하는데요, Slack만 유일하게 여러 이메일로 나뉘어진 워크스페이스를 하나의 앱에서 열 수가 있습니다.  보통 LINE이나 MS제품군들을 보면 어카운트 스위칭이 아니고 로그 아웃하고 다른 어카운트로 로그인 해야 하잖아요? Slack만이 한 번에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채팅하면서 스위칭할 수 있다는게 장점입니다. 한국 처럼 하나의 카톡으로 모든걸 하게 했으면 프로필을 프로젝트마다 지정할 수 없어서 힘들었을거에요..   게다가 Slack의 큰 장점 중 하나가 workflow를 코딩 가능한 기능입니다.  Slack을 사용한다는 분들을 보면 외부 API를 연결하는건 대부분 하시리라 봅니다만,  특정 웹 API에 맞는 폼을 직접 만들어서 그 폼대로 입력하면 API가 던져진다거나, 알람 채널에 알람이 뜨면 그걸 트리거로 해서 다른 작업이나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거나 하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워크플로 자동화는 다른 메신저에선 볼 수 없는 기능이지요.. 10:00 오전 DBRE팀의 기술 공부 미팅 참가 원래 참가 안해도 되지만, 무슨 헛소리를 하는지 들어야 하므로 참가를 해서 듣고 있습니다.  농담이구요..  전 멤버가 나가면서 회사와 0.2MM계약을 해

IT컨설턴트의 필수 스킬 캐퍼시티 플래닝(Capacity Planning) ! 중에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영상버전 :  https://youtu.be/7O39f4t3wjs 캐퍼시티 플래닝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아직 리더급이 되지 않으신 분들이나 이제 막 리더가 되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리라 봅니다.  프로젝트를 리딩하는 사람들은 예산을 편성해야 합니다.  원래는 컨설턴트가 주로 하는 것이지만, 운영 중에는 PM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지요.  보통 캐퍼시티 플래닝 이라고 하면  서비스에 맞추어 어느 리소스를 어느 타이밍에 얼마만큼 늘려주어야 하는지를 계산하여  그로인해 예산이 편성되는 시기까지 서비스를 멈추지 않고 미리 확장하기 위한 레거시 시절의 산물입니다.  이젠 클라우드가 되었으니 그냥 매달 내면 되잖아요? 하지만 클라우드가 되면서 더욱 예산 편성이 힘들어진 요즘  클라우드에 맞는 캐퍼시티 플래닝을 해주는 곳이 별로 없는 것 같아서  대형 프로젝트는 예산이 불확실 하여 클라우드화 안된다거나,  클라우드화를 하더라도 레거시처럼 월단위 금액이 고정되는 리소스를 굳이 넣는 경우가 많죠.. 여기서 제가 제안하는 클라우드에 특화된 캐퍼시티 플래닝 기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왠지 거창하죠?  하지만 보시면 헛 웃음이 나올 정도로 간단합니다.  이런 간단한 걸 지금 할 줄 아느냐 모르느냐의 차이가 능력의 차이가 되는 것이지요. 이제 감정인식AI프로젝트의 막바지인데요.. 6월에 저의 할 일은 끝나서 저만 프로젝트에서 빠집니다.  그런데 할게 없어서 캐퍼시티 플래닝을 해주겠다고 하자 좋아하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했던 내용을 정리 해 드립니다.  1. Azure Cost management를 들어갑니다.  2. 한 달간 사용한 양을 CSV로 떨굽니다.  3. 이걸 엑셀에서 열어서 항목들을 보면서 고객이 늘어날 때 늘어날 항목들에 가중치를 만들어 줍니다.  a. 개발이나 테스트 리소스는 0으로, 고객이 늘어날 때 추가할 것은 1로, 고객이 늘어나도 쉐어하는 것은 쉐어 비율을 계산합니다. 보통 0.3~0.7 정도로 많이 하지요.  4. 이렇게 계산

컨설팅을 위한 지식을 모으는 팁

현대에는 거의 모든 사람이 동일한 조건하에 정보를 손에 얻을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컨설팅을 나가보면 많은 전문가라 불리는 사람들의 수준이 너무 차이가 많이 나서 고객도 혼란해 하고, 컨설턴트 끼리도 스스로의 애매한 지식을 피력하려 부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의 경우는 제가 얻고 있는 지식원을 모두 공개합니다. 주변에서는 그렇게 하다가 그걸 모두 얻은 사람이 고객을 가로채면 어떡하느냐? 라는 근심스런 조언을 주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반박하지요. 제가 얻는 지식 역시 누구나 엑세스 가능한 정보이며, 늦냐 빠르냐의 차이이지 언젠가는 도달할 영역입니다. 굳이 이런거 알려주지 않으려 애쓰는 모습을 보면 패스워드를 알려주지 않음으로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어필하는 꼰대 상사랑 같다는 생각을 금치 못합니다. 오히려 제 정보원을 공유하고 서로 정보의 넓이를 넓혀갈 수 있는 사람들을 모으는 것이 훨씬 서로에게 이득이 되기 때문에 정리한 정보조차 공유하고 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제가 가진 정보의 60%정도는 구글 검색에서 얻고 있습니다. 즉, 검색만 잘하면 많은 정보가 들어옵니다. 하지만 왜 서로 다른 정보를 찾을까요? 아마도 찾는 언어가 달라서일 겁니다. 저의 경우는 일본어 > 영어 > 한국어 순으로 검색합니다. 일본어 결과는 경험을 중심을 잘 정리된 블로그가 많기 때문이지요. 논문이나 원리 자체를 알기 위해서는 영문을 검색합니다. 거의 이 정도에서 대부분 필요한 정보가 손에 들어오지만, 간혹 한국어 내용중에 잘 정리한 글도 있기에 검색을 걸어봅니다. 언어 비율은 일본어 : 영어 : 한국어 = 6 : 3.9 : 0.1 정도 일까요? 그 외에도 LDA(Topic modeling)를 역산하여 정확한 구글의 의도를 찾아내는 것도 검색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거나 인간으로서 불가능한 수십 수백만의 구글 결과 문서에서 나에게 필요한 문서만을 추리는 방법론(Ascent Networks의 박대표님 감사합니다!)도 있지만 이건 너무 길어서 나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