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버전 : https://youtu.be/JGgTOA5Tcsc 2007년에 SQL Server에 있는 SP를 기반으로 만든 서비스가 있습니다. 다른 RDBMS에서는 그냥 프로시저라고 부르는데 유독 SQL Server에서만 Stored Procedure라고 하네요.. 이유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아뭏든.. 거의 모든 처리는 SP에서 처리하고 웹페이지는 그냥 SP를 실행한 결과만 호출하는 방식이죠. 결과 또한 표시 화면에 맞추어 쿼리를 만들었기 때문에 계산이나 변수에 받아서 조정할 일이 없습니다. 여기에는 많은 개념이 있었는데요.. 2007년이면 AWS가 막 이름을 내기 시작했고, VMWare가 일본을 장악 했던 떄이죠. VMWare의 3.5를 쓰다가 VMWare 4.0부터 많은 부분이 안정화 되었고, 이 VMWare를 이용한 인프라 관리가 관건이었습니다. Xen도 이 때 많이 커지는 듯 하였으나, 어느 정도 중대규모 및 상업용은 VMWare가, 초 대규모 또는 무상은 Xen이 점령하고 그 밖에 virtualserver, hyper-v, kvm등등 많은 가상화 솔루션들이 있었죠.. 그리고 2011년 정도 되어서 openstack과 cloudstack을 기반으로 오픈소스 진영이 엄청나게 전쟁중이었구요.. VMWare같은 가상화 솔루션은 하나의 머신에 VM을 쓰다가 vMotion이란 것을 이용해서 가동 중에 여기저기 머신을 오다닐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구요, 그러다 보면 local IP를 바꾸기 일상이죠. 300대의 물리머신에 대당 10개의 가상머신이 있다면 일일이 동일한 IP로 옮겨다니기 어렵거든요.. 가상 IP를 마구잡이로 넣고 나중에 글로벌IP를 Routing으로 매핑하거나 NAT를 많이 쓰기도 했구요.. 이 즈음에 Azure 클라우드 서비스가 처음 선보였는데, 이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