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버전 : https://youtu.be/dhH02gdB33E 船を編む라는 애니메이션의 한 부분입니다. 이 작품은 일본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작품을 애니메이션 및 드라마화 한 것인데요.. 인상깊은 표현이 있어 가지고 왔습니다. 사전이 만능은 아닙니다. 말 이란 것은 결국은 인간이 만드는 거죠. 언어는 살아있기 때문에 사용법이나 뉘앙스는 시대에 따라 변해 갑니다. 때문에 언어를 쉽게 보시면 안된다는 이야기죠. ---- 얼마전 20대의 한국인 유학생이 대학교 강의실에서 강의를 듣다가 망치를 휘두른 사건, 기억 나시나요? 오사카 쪽이었죠 아마.. 망치를 휘둘러 5명이 다치고 경찰이 와서 잡아갔다는데요.. 그녀의 주장은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따돌렸다고 하는데요.. 그녀 생각에는 자신은 아무 잘못도 없이 평범하게 대했지만,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따돌린다고 느꼈다고 했지만, 주변 사람들 입장에선 어떻게 봤을 까요? 그녀는 그녀 나름대로 자기 주장이 강하고 우리는 딱히 그 녀를 따돌린 적 없다. 단지 너무 강한 그녀와 오래 있는건 피곤해진다. 고 했겠죠.. 무의식 중에 불편해서 거리를 두었을 지도 모릅니다. 그 불편함을 만든건 그녀겠지요. 여기서 일본어의 단어 선택의 중요함이 여실히 드러납니다. 아마도 제 생각에는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직설적인 표현이나 너무 훅 들어오는 표현들이 일본인에게는 거리감을 만들지 않았을까요? 그러니 일본인은 단지 그녀를 대하기 어려워 하는 것이었지만 그녀에게는 따돌림 받는다고 느껴지지 않았을까요? 얼마전 저에게 상담을 하던 일본에 온지 얼마 안된 사람과도 이 이야기를 하면서 일본어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했습니다. 한국어도 분위기를 파악한 단어 선택이 중요하지만,...
영상버전 : https://youtu.be/LfAGeU28Raw 얼마전 Linkedin의 어떤 글로 공방이 있었습니다. 누군가가 작성한 문장에서 찬반이 갈리고 있었죠. 회사원은 프리랜서가 아닙니다. 혼동하지 맙시다. 라는 말로 시작했는데요.. 자율 출퇴근제에 대한 비관적인 이야기를 하면서 협업의 책임을 회피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즉, 다들 일하는 시간에 출근 안하면 무책임하다.. 라는 표현으로 결론을 지어 버린 내용이라 씁쓸했습니다. 여기서 마지막에 언급한 것은 회사에 소속되어 일한다는 것은 단순히 월급을 받기 위한 계약 관계가 아닙니다. 함께 성장하고 더 큰 가치를 만들어내기 위한 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라고 종결을 했는데요.. 단순히 보기엔 괜찮은 문장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회사의 발전에 동참하지 않는자 퇴사해라 라고 들리거든요.. 그래서 저는 반박을 했죠. 말씀은 좋아보입니다만 일반 평시원에게 왜 넌 C레벨만큼 애사심이나 주인의식이 없니? 라고도 들리는 건 저만 일까요? 그렇게 달았더니 거기에 다시 다른 사람의 의견이 달렸습니다. 사원은 회사의 C레벨이나 주인이 아니니 협업에 대해 무책임해도 되는건 아니죠. 라구요.. 거기에 제가 반박을 했습니다. Nolan. J. Bushnel 이란 사람이 있는데요.. 이 사람은 ATARI라는 아주 오래전에 세계적인 게임회사 사장이었구요, 유일하게 스티브 잡스가 일을 했던 회사의 오너이기도 하지요. ATARI외에도 수십개의 회사를 만들고 망해보고를 반복하면서 얻은 결론이 있습니다. 98%는 안정을 추구하고 2%의 혁신가가 회사의 방향을 결정한다. 즉, 잡스가 만든 프로토 타입 게임은 혁신적이었으나, 그것만으론 세상에 내놓을 수 없죠.. 상품기획에서부터 이쁜 포장과 마케팅, 고객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