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서 사람들이 많이 논하고 있다.
하지만, 정확히 아는 사람도 아직 적은 편이다.
그리고 정의만 달달 외우는 우리나라식 주입식 암기만 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약간 깊이 있게 논해보자.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렇게 정리했다.
On-demand self service
내가 직접 액션을 취해서 받는 서비스이다.
Broad network access
어디서든 엑세스 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가진다.
하지만 여기서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의 접속을 얘기하기도 한다.
Resource pooling
리소스 풀을 가지고 있어 원할때 바로 꺼내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Rapid Elasticity
빠른 신축성을 가지고 바로 사용하고 바로 돌려줄 수 있는 가변성을 가져야 한다.
Measured Service
위의 네 가지를 다 가능하게 한다면 사용한 만큼 과금을 할 수 있는 측정서비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다섯가지를 구비하고 있으면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어디에서 가상화(Virtualization)이니 이중화(Redundancy)이니 보안(Security)이니 하는게 있는가..
아직도 클라우드는 가상화 아니냐.. 죽지 않는 서비스 아니냐 하는식의 얘기는 안하겠지..
그럼 클라우드라고 불리는 서비스들이 제대로 클라우드의 정의에 따르는지 보자.
AWS, Azure, GCE(Google Computing Engine), LG Cloud N, KT 유클라우드(U Cloud)의 경우 대표적인 IaaS로서 자리잡고 있다. 회원 가입을 하고 직접 서버를 생성한다. 그리고 모바일 버전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접속해서 서비스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리소스 풀에서 꺼내 쓰고 바로 삭제가 가능하다.
그리고 월말에 사용량만큼 과금한다.
이게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PaaS(Platform as a Service)를 보자.
Sales Force(http://force.com), GAE(Google Apps Engine), VS Online(Visual Studio Online)등의 서비스가 대표적인 PaaS이다.
이들 역시 유저가 직접 가입하고 사용하고, 필요한 기능들을 마음대로 끌어쓰다가 풀어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량에 맞추어 과금이 발생한다.
Storage Service 및 DB 서비스는 영역이 애매하다.
N Drive나 다음 클라우드의 스토리지 영역은 유저에게 저장공간을 준다.
IaaS에서 이야기하는 Infrastructure에 해당하느냐에 대한 애매함과,
다수의 공급자를 다수의 수요자에게 매칭시켜주지도 않으면서 플랫폼(Platform)이라 부를 수 없다.
저장 솔루션이나 DB 솔루션의 서비스에 가깝기 때문에 SaaS라고 부르는게 맞을지도 모르겠다.
AWS S3, N드라이브, 다음클라우드등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보자.
유저가 가입하고, 여러 기기에서 접속 가능하고, 사용하고, 용량증설이 자유(?)롭고, 언제든 줄일 수 있고, 사용량 만큼 과금(?) 한다.
중간중간 물음표가 들어있는 의미를 알 것이다. 무료 서비스 일부 옵션 서비스도 있고, 용량을 미리 지정해놓고 용량에 대한 해제가 애매한 서비스들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서비스 사업자와 유저사이의 분쟁이 있을리가 없다.
예를 들어, AWS의 Ireland 센터가 벼락에 맞아 서비스가 떨어진 적이 있다. 이틀간의 서비스 정지가 있었다. 고객들은 항의했다. 변상을 요구했다.
위의 클라우드 정의를 보자. 어디가 이중화가 있는가?
이중화를 하기 쉽게 Self-service툴을 제공하고 있는데 왜 안하고서 사업자를 탓하는가?
고객들이 클라우드는 보안에 취약하지 않느냐고 물어본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다중 사용자를 타게팅 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오히려 보안성을 잘 고려해서 만들었다. 단지, IaaS같은 서비스의 경우 고객이 생성한 서버 내의 보안까지 모두 최고로 올려서 서비스를 한다면 고객은 하나하나 푸는데 고생할 것이다.
즉, 지금과 똑같이 코로케이션이나 호스팅을 할 때 제공한 수준과 동일한 수준의 보안을 설정해줄 뿐이다. 나머지는 고객이 self-service로 고객의 보안정책에 맞추어 설정을 해야하는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가격만 가지고 비교하는 케이스도 많다.
클라우드는 저렴하게 인프라를 제공할 수 없다. 중앙 관리용 솔루션 개발에만 수십억을 들였는데 이게 자선사업도 아니고 고객에게 전가되는게 당연한 거 아닌가?
리소스를 나누어 쓰면서 발생하는 비용 절감이 있다고?
그럼 고객 스스로 나누어 쓸만큼 스펙을 낮추는게 맞는거 아닌가?
클라우드 영업은 누누히 얘기한다.
"서버의 컴퓨팅 파워를 평균 20%밖에 안쓰기 때문에 그런 서버들을 옮겨오면 효율이 있다."
그럼 스펙을 20%로 잡던가.. 아니면 여유잡아 40%로 잡아야지 100%로 잡으면서 가격 네고를 하는게 말이 되는가.. 참고로 모 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로케이션과 비교하면 클라우드가 2배 정도 비싸다. 동일 스펙으로 1년 사용시 비용이다.
레거시와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단점을 알고, 그에 최적화된 구성을 할 수만 있다면 아마도 가격도 절약하면서 최적의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클라우드/호스팅 서버의 통합 관리 자동화 서비스 : http://giip.littleworld.net
자신의 모든 데이터/사이트를 한 번에 관리 : http://link.littleworld.net
하지만, 정확히 아는 사람도 아직 적은 편이다.
그리고 정의만 달달 외우는 우리나라식 주입식 암기만 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약간 깊이 있게 논해보자.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렇게 정리했다.
On-demand self service
내가 직접 액션을 취해서 받는 서비스이다.
Broad network access
어디서든 엑세스 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가진다.
하지만 여기서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의 접속을 얘기하기도 한다.
Resource pooling
리소스 풀을 가지고 있어 원할때 바로 꺼내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Rapid Elasticity
빠른 신축성을 가지고 바로 사용하고 바로 돌려줄 수 있는 가변성을 가져야 한다.
Measured Service
위의 네 가지를 다 가능하게 한다면 사용한 만큼 과금을 할 수 있는 측정서비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다섯가지를 구비하고 있으면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어디에서 가상화(Virtualization)이니 이중화(Redundancy)이니 보안(Security)이니 하는게 있는가..
아직도 클라우드는 가상화 아니냐.. 죽지 않는 서비스 아니냐 하는식의 얘기는 안하겠지..
그럼 클라우드라고 불리는 서비스들이 제대로 클라우드의 정의에 따르는지 보자.
AWS, Azure, GCE(Google Computing Engine), LG Cloud N, KT 유클라우드(U Cloud)의 경우 대표적인 IaaS로서 자리잡고 있다. 회원 가입을 하고 직접 서버를 생성한다. 그리고 모바일 버전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접속해서 서비스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리소스 풀에서 꺼내 쓰고 바로 삭제가 가능하다.
그리고 월말에 사용량만큼 과금한다.
이게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PaaS(Platform as a Service)를 보자.
Sales Force(http://force.com), GAE(Google Apps Engine), VS Online(Visual Studio Online)등의 서비스가 대표적인 PaaS이다.
이들 역시 유저가 직접 가입하고 사용하고, 필요한 기능들을 마음대로 끌어쓰다가 풀어줄 수 있다.
그리고 사용량에 맞추어 과금이 발생한다.
Storage Service 및 DB 서비스는 영역이 애매하다.
N Drive나 다음 클라우드의 스토리지 영역은 유저에게 저장공간을 준다.
IaaS에서 이야기하는 Infrastructure에 해당하느냐에 대한 애매함과,
다수의 공급자를 다수의 수요자에게 매칭시켜주지도 않으면서 플랫폼(Platform)이라 부를 수 없다.
저장 솔루션이나 DB 솔루션의 서비스에 가깝기 때문에 SaaS라고 부르는게 맞을지도 모르겠다.
AWS S3, N드라이브, 다음클라우드등의 스토리지 서비스를 보자.
유저가 가입하고, 여러 기기에서 접속 가능하고, 사용하고, 용량증설이 자유(?)롭고, 언제든 줄일 수 있고, 사용량 만큼 과금(?) 한다.
중간중간 물음표가 들어있는 의미를 알 것이다. 무료 서비스 일부 옵션 서비스도 있고, 용량을 미리 지정해놓고 용량에 대한 해제가 애매한 서비스들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서비스 사업자와 유저사이의 분쟁이 있을리가 없다.
예를 들어, AWS의 Ireland 센터가 벼락에 맞아 서비스가 떨어진 적이 있다. 이틀간의 서비스 정지가 있었다. 고객들은 항의했다. 변상을 요구했다.
위의 클라우드 정의를 보자. 어디가 이중화가 있는가?
이중화를 하기 쉽게 Self-service툴을 제공하고 있는데 왜 안하고서 사업자를 탓하는가?
고객들이 클라우드는 보안에 취약하지 않느냐고 물어본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다중 사용자를 타게팅 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오히려 보안성을 잘 고려해서 만들었다. 단지, IaaS같은 서비스의 경우 고객이 생성한 서버 내의 보안까지 모두 최고로 올려서 서비스를 한다면 고객은 하나하나 푸는데 고생할 것이다.
즉, 지금과 똑같이 코로케이션이나 호스팅을 할 때 제공한 수준과 동일한 수준의 보안을 설정해줄 뿐이다. 나머지는 고객이 self-service로 고객의 보안정책에 맞추어 설정을 해야하는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가격만 가지고 비교하는 케이스도 많다.
클라우드는 저렴하게 인프라를 제공할 수 없다. 중앙 관리용 솔루션 개발에만 수십억을 들였는데 이게 자선사업도 아니고 고객에게 전가되는게 당연한 거 아닌가?
리소스를 나누어 쓰면서 발생하는 비용 절감이 있다고?
그럼 고객 스스로 나누어 쓸만큼 스펙을 낮추는게 맞는거 아닌가?
클라우드 영업은 누누히 얘기한다.
"서버의 컴퓨팅 파워를 평균 20%밖에 안쓰기 때문에 그런 서버들을 옮겨오면 효율이 있다."
그럼 스펙을 20%로 잡던가.. 아니면 여유잡아 40%로 잡아야지 100%로 잡으면서 가격 네고를 하는게 말이 되는가.. 참고로 모 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로케이션과 비교하면 클라우드가 2배 정도 비싸다. 동일 스펙으로 1년 사용시 비용이다.
레거시와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단점을 알고, 그에 최적화된 구성을 할 수만 있다면 아마도 가격도 절약하면서 최적의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클라우드/호스팅 서버의 통합 관리 자동화 서비스 : http://giip.littleworld.net
자신의 모든 데이터/사이트를 한 번에 관리 : http://link.littleworld.net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