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프로젝트도 마찬가지로 인프라 관리는 #giip 를 이용하고 있다.
2016년 경 giip를 이용해 투자자들을 찾았을 때가 기억난다.
모든 #투자 자들은 B2C를 선호하고 2년뒤에 보이는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바란다. 그리고 B2B의 특성을 모르고 몇명의 유저가 모이는지를 물어본다.
비교 대상을 요구했을 때 내가 현재 없는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얘기하자 모 투자자는 얘기했다.
" 그렇게 잘났으면 왜 실리콘 밸리 가지 않고 여기서 투자자를 찾나요?"
기술 투자 전문이라는 그 투자자의 말이었다.
그리고는 투자를 포기하고 아주 오랜 기간을 두고 혼자서 만들어가고 있다.
그러다 보니 비슷한 서비스가 나왔다.
#Jenkins 는 giip의 CQE(Command Queue Engine)부분에서 따온 듯한 느낌이다.
#Terraform 은 giip의 Script Repository기능을 이용한 멀티 디플로이 기능으로 대체 가능하다. 물론 어떠한 클라우드라도.
요즘 #Azure #LogAnalytics 를 보고 있는데 giip의 #KVS(Key Value Store)와 매우 흡사하다. 물론 giip의 KVS역시 #SQLServer 의 #JSON #Query 를 참고로 만들었긴 했지만..
시대의 필요가 있으니 이러한 기능을 가진 서비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한국이 세계적인 기술 개념을 만들 수 없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
-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혁신보다는 눈앞의 숫자만을 바라본다.
- 기술이 뛰어난 사람들은 이미 한국에 없다.(한국에서 쫓겨난다)
- Made in Korea에 자부심이 없다.
- 깊이있는 연구를 하면 오타쿠 취급을 받는다.
내가 Intel CPU와 AMD CPU의 코어 기술을 설명하자 주변이 싸늘해진 적이 있다.
가끔은 특정 Block chain 서비스의 합의 알고리즘을 분석해달라고 요청이 오면 분석해서 안정성과 유사 체인등의 특성등을 알려주면, 그것 보다 돈이 되는지를 물어본다.
giip는 2007년에 만들어져 이미 #클라우드 의 VM 환경 및 동적 IP를 가진 서버도 대응하는 혁신적인 관리 툴이었다. (그 때까지 어떠한 시스템 관리 툴도 IP가 베이스였기 때문에 바뀌는 IP를 체크할 수 없고, 로컬 네트워크 기반 제어라 클라우드의 네트워크 제약이 강했다. )
2011년 한국 최초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런칭할 때도 참여하여 타 기업보다 좋은 매출을 끌어올려줬는데, 나는 이미 5년 이상 클라우드 인프라를 관리한 경험이 있고 클라우드의 개념을 깊이 있게 정립하여 서비스의 방향성을 잘 잡았기 때문이다.
그 노우하우가 전부 집약되어 있는게 giip이다.
15년이 지나도록 giip의 코어 데이터 구조는 바뀌지 않았다.
UI는 트렌드에 맞추어 #bootstrap 으로 변경은 되었지만..
예전에 #softbank robot #pepper 를 giip로 제어하는 구조를 보여준 적도 있는데, 실제로 giip는 인터넷이 연결된 어떠한 디바이스라도 제어가 가능하고 어떠한 보안이 되어 있어도 제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완전 격리된 상태라면 불가능하지만)
가끔 술자리에서 농담으로 내가 #스카이넷 에 가장 가까운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
수 년 전 #UiPath 를 giip에서 제어하면서 #Orchestrator 없이 통합 제어 를 보여주고 나도 필요해서 몇 군데는 아직도 giip로 UiPath #워크플로우 처리를 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하는 워크플로와 디바이스 그룹을 선택해서 내려보내면 그 그룹 중에 남는 PC가 알아서 자기 업무를 진행하고 보고한다.
이젠 포기하고 혼자 잘 쓰고 있지만,
기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모든 기술을 공유하고 발전시켰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냥 혼자 잡담이었습니다. ^^
2016년 경 giip를 이용해 투자자들을 찾았을 때가 기억난다.
모든 #투자 자들은 B2C를 선호하고 2년뒤에 보이는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바란다. 그리고 B2B의 특성을 모르고 몇명의 유저가 모이는지를 물어본다.
비교 대상을 요구했을 때 내가 현재 없는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얘기하자 모 투자자는 얘기했다.
" 그렇게 잘났으면 왜 실리콘 밸리 가지 않고 여기서 투자자를 찾나요?"
기술 투자 전문이라는 그 투자자의 말이었다.
그리고는 투자를 포기하고 아주 오랜 기간을 두고 혼자서 만들어가고 있다.
그러다 보니 비슷한 서비스가 나왔다.
#Jenkins 는 giip의 CQE(Command Queue Engine)부분에서 따온 듯한 느낌이다.
#Terraform 은 giip의 Script Repository기능을 이용한 멀티 디플로이 기능으로 대체 가능하다. 물론 어떠한 클라우드라도.
요즘 #Azure #LogAnalytics 를 보고 있는데 giip의 #KVS(Key Value Store)와 매우 흡사하다. 물론 giip의 KVS역시 #SQLServer 의 #JSON #Query 를 참고로 만들었긴 했지만..
시대의 필요가 있으니 이러한 기능을 가진 서비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한국이 세계적인 기술 개념을 만들 수 없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
-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혁신보다는 눈앞의 숫자만을 바라본다.
- 기술이 뛰어난 사람들은 이미 한국에 없다.(한국에서 쫓겨난다)
- Made in Korea에 자부심이 없다.
- 깊이있는 연구를 하면 오타쿠 취급을 받는다.
내가 Intel CPU와 AMD CPU의 코어 기술을 설명하자 주변이 싸늘해진 적이 있다.
가끔은 특정 Block chain 서비스의 합의 알고리즘을 분석해달라고 요청이 오면 분석해서 안정성과 유사 체인등의 특성등을 알려주면, 그것 보다 돈이 되는지를 물어본다.
giip는 2007년에 만들어져 이미 #클라우드 의 VM 환경 및 동적 IP를 가진 서버도 대응하는 혁신적인 관리 툴이었다. (그 때까지 어떠한 시스템 관리 툴도 IP가 베이스였기 때문에 바뀌는 IP를 체크할 수 없고, 로컬 네트워크 기반 제어라 클라우드의 네트워크 제약이 강했다. )
2011년 한국 최초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런칭할 때도 참여하여 타 기업보다 좋은 매출을 끌어올려줬는데, 나는 이미 5년 이상 클라우드 인프라를 관리한 경험이 있고 클라우드의 개념을 깊이 있게 정립하여 서비스의 방향성을 잘 잡았기 때문이다.
그 노우하우가 전부 집약되어 있는게 giip이다.
15년이 지나도록 giip의 코어 데이터 구조는 바뀌지 않았다.
UI는 트렌드에 맞추어 #bootstrap 으로 변경은 되었지만..
예전에 #softbank robot #pepper 를 giip로 제어하는 구조를 보여준 적도 있는데, 실제로 giip는 인터넷이 연결된 어떠한 디바이스라도 제어가 가능하고 어떠한 보안이 되어 있어도 제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완전 격리된 상태라면 불가능하지만)
가끔 술자리에서 농담으로 내가 #스카이넷 에 가장 가까운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
수 년 전 #UiPath 를 giip에서 제어하면서 #Orchestrator 없이 통합 제어 를 보여주고 나도 필요해서 몇 군데는 아직도 giip로 UiPath #워크플로우 처리를 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원하는 워크플로와 디바이스 그룹을 선택해서 내려보내면 그 그룹 중에 남는 PC가 알아서 자기 업무를 진행하고 보고한다.
이젠 포기하고 혼자 잘 쓰고 있지만,
기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모든 기술을 공유하고 발전시켰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냥 혼자 잡담이었습니다.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