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삶의 여유 라는 것

한국에서 친구들과, 그리고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재미난 이야기를 듣는다.
왜 돈도 안되는 일에 그렇게 시간과 정렬을 허비하냐고..

그렇다!
난 참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고, 돈이 안되도 하고, 여행도 자주 다닌다. 주변에서는 그렇게 해서 돈을 언제 모을 거냐고 한다.
혹자는 이렇게 말한다.
바보처럼 맨날 이용만 당하고, 남 좋은일만 시켜준다고..

사실이다.
그런데, 그런일이 바보스러운 일이었는지는 아직도 의문이다.
내가 만나본 우리나라의 정상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내가 바보 같다는 이야기를 한다.
다시 한 번 돌려서 말해보고 싶다.
게이츠 재단을 만들어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빌게이츠씨는 돈벌어 남 좋은일 시켜주니 바보인가?
이 때 또 이렇게 말하는 사람이 있다.

"그럼 발게이츠 처럼 많이 벌던가."

능력없는 사람은 남좋은일 시켜주면 손가락질 받고 바보 같다는 이야기를 듣는 세상이었던 것 같다.
일본에서 느꼈던 것중에 가슴을 뭉클하게 만든 내용이 있었다.
자기가 지금까지 살아온 모든 것을 버리고 오지로 나가서 볼란티어로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있는 사람들..
그렇다고 잘 사는 것도 아니고, 누구에게 자랑하기 위해서도 아니다. 자기가 자기의 만족을 위한 가치있는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돈 만이 가치이고 돈 만이 만족감을 주는 사람들은 느낄 수 없는 희열일 것이다.

라오스에서 2년동안 IT강사 볼란티어로 있다가 온 사람이 있었다.
아직도 한국에서는 한 곳에 발을 붙이지 못하고 여기저기 헤메고 있는 "사회부적응자" 이다.
누가 이 친구를 사회부적응자로 만들었을까?
우리나라의 사회가 정상이고 해외에서 직장생활을 하다 온 사람들, 해외의 문화를 느끼고 온 사람들은 쉽게 "사회부적응자" 가 되어버린다.
나역시 한국에서는 6개월이 멀다하고 회사를 옮기고 있다. 나역시 사회부적응자이다.
일본에서는 5년 이상 한 회사에 있어도 편했는데..

열심히 돈을 향해 내달리고 있고, 여유없이 살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해외로 가기전의 날 보는 듯 하다.
그들에게 한 마디 해주고 싶다.

"당신은 정말 이대로 좋은가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일본 두바퀴 여행(바이크 편)

영상버전 : https://youtu.be/P3vC17iVu1I 이번에는 일본으로 넘어와서 일본 종주하시는 바이커들을 위한 정보입니다.  일본에서의 2륜의 정의가 면허와 도로교통법이 조금씩 다르다고 합니다.  그래도 그렇게 크게 신경쓸 건 없으니 딱 세 종류로 말씀 드릴께요.  50cc는 원동기 1종이라고 하여 3차선 이상 교차로에서 우회전, 한국에선 좌회전 같이 크게 도는 것이지요..  이게 불가능합니다.  직진 신호로 넘어간 뒤에 방향을 틀고 다시 직진으로 두번 꺾어 가야 하구요,  두 명이 타면 안됩니다.  그리고 맨 가장자리 길로만 가야해서 애매하게 끝에서 두 번째 차선만 직진인 곳들이 있어서 난감할 때가 있지요. 그런데에 직진하면 걸리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어느 정도까지 걸리고 안걸리고는 정확히는 모르지만,  직좌 마크가 아닌 좌회전 마크만 있는 곳이 은근히 많으니 조심해야 하겠더라구요.  최고 시속도 30km를 넘기면 안되어 천천히 달려야 합니다.  아뭏든 제약이 엄청나게 많으므로 60cc이상을 가져오시거나 렌트 하시는 것을 추천하구요,  125cc미만은 겐츠키 2종이라고 하여 두 명이 타도 되고, 3차선 이상에서 우회전이 가능합니다.  상당히 제약이 풀리는 대신 고속도로를 탈 수가 없지요.  만약 국도로 천천히 올라오신다면 125cc미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실제로 일본인 바이커들 중에서도 국도 종주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구요,  도심에 가면 125cc미만까지만 주차 가능한 바이크 주차장도 꽤 많기 때문에 도심용으로는 메리트가 큰 것 같습니다.  뭐, 125cc대는 곳에 큰 바이크를 대는 경우도 자주 보는데, 아무도 뭐라 안하긴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일본의 바이크 등록대수는 1031만대 인데도 바이크 전용 주차장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바이크 주차장이 저렴하기 때문에 웬만한 ...

BI의 궁극판! Apache Drill을 써보자!

사실 Apache Drill 은 BI(Business Intelligence)라고 부르는 것 보다는 단순 데이터 연결 엔진이다. https://drill.apache.org/ 하지만 내가 왜 극찬을 하느냐면.. DBA로서 항상 문제가 되어왔던게, 이기종 데이터의 변환이나 처리였다. 포맷을 맞추는데 엄청난 시간이 걸리고, 데이터 임포트 실패가 무수하게 나고.. 한 번 잘못 데이터를 추출하면 다시 조정, 변환, 추출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그런데! Apache Drill은 그냥 RDB를 CSV랑 연결해서 조인해서 통계를 낼 수 있다. 그것도 표준 SQL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CSV의 세 번째 컬럼이 price 이고, 물건의 판매이력을 PG사에서 CSV로 출력 받았다. 우리 DB와의 검증을 위해서는 수동으로 Import를 한 뒤에 포맷이 안맞아 잘리는 데이터가 있다면 다시 맞춰주고, 재 임포트를 수십 번, 그리고 나서 겨우 들어간 데이터를 조인하여 빠진 데이터를 분간한다. 숫자가 적다면 개발자가 개발로 처리할 수도 있지만, 건수가 하루에 300만건 짜리라면.. 한 달 온 파일은 9천만 건이다. 프로그램으로 고작 처리하는 것이 초당 500건. 거의 20만초, 에러 없이 약 56시간.. 에러가 생기면 다시 56시간.. ㅠㅡㅠ 이런게 현실이기 때문에 쿼리 말고는 방법이 없다. apache drill 의 진면목을 보자! 이번에는 좀 범용 적인 MySQL DB와 붙여 보자. . 난 이번에는 Mac에서 작업을 했기 때문에 그냥 다운 받아서 풀었음.. https://drill.apache.org/download/ 여기서 자기 OS에 맞는 버전을 받아서 설치하시길.. 압축을 풀고 나면 MySQL 커넥터를 붙여야 한다. https://dev.mysql.com/downloads/connector/j/5.1.html 여기서 다운로드 이런 커넥터 들을 붙일 때마다 콘피그를 수정해 줘야 하지만, 몇 번만...

PHP SLIM Framework 의 간단한 사용방법

난 개발을 잘 못한다.  언어도 딱히 정해놓은 것도 없다.. 이번에는 누군가 SLIM Framework를 깔았다고 쓰랜다..  이건 또 머지.. 하고 그냥 써보았다.. 아마도 이게 전부가 아니고, 극히 일부중에 걍 쓰는것만 쓰는 것일지도 모르지만,  편리한 부분이 있다. $app->get('/member/emailauth', function () use ($app,$conn,$sqlmgr,$ssp) {     //--Request processing begins here...---------------------------- $email = $app->request()->get('email'); $ref = $app->request()->get('ref'); $authid = $app->request()->get('authid'); $callback = $app->request()->get('callback');     //--Control Process---------------------------------------------- try { $getMemberInfo = $ssp->getMemberInfo($conn, $sqlmgr, $email, $authid, $ref); $idx=$getMemberInfo['idx']; if($idx==""){ $postMemberInfo = $ssp->postMemberInfo($conn, $sqlmgr, $email, $authid, $ref); $data = array('result' => '0', 'message' => 'yes', ...